라고도 한다. 명복을 비는 재(齋) 에서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供養) 의 의미로 추는 작법(作法) 은 착복(着服) 혹은 범무(梵舞) 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법(作法) 은 불교 의식중 ... ), 일상신앙의례, 소재신앙의례(消災信仰儀禮), 영혼천도의례(靈魂薦度儀禮), 불공신앙의례로 나눌 수 있다.세시풍속의례로는 석가모니의 출생과 출가, 성도(成道), 열반일과 같은 불교사대 ... 명절의례와 세시풍속에 행하는 불교신앙의례가 있다. 사자신앙의례는 민중의 현실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는 민속불교의 중요한 의례행위로 사십구일재(四十九日齋), 수륙재(水陸齋), 예수재(豫
을 일삼다가 일찍 죽은 과거의 제자임을 알게 되었다.너무나 가여운 마음에 그 스승은 고통에 처한 제자를 위하여 뭍이나 물에서 사는 미물과 함께 외로운 영혼들을 천도(薦度)하는 법회 ... 인 수륙재(水陸齋)를 베풀어서 제자를 물고기의 몸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주었다. 그날 밤 스승의 꿈에 물고기의 몸을 벗은 제자가 나타나서 감사를 드림과 함께 다음 생에서는 참
)".신중탱화의 맞은편, 즉 왼편(혹은 오른편)에는 하단탱화인 "감로탱(甘露幀)"이 걸려 있다. 하단을 영단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죽은 영혼에게 재(齋)를 지내는 곳이기 때문이 ... 에는 구복(求福), 장수(長壽), 다자(多子), 구병(救病), 천도(薦度) 등을 빈다. 따라서 현실의 절박한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기원하는 하단신앙은 신도들과 가장 친근한 신앙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