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교회를 위한 개혁주의 부흥론

어게인 1907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 개혁주의 부흥론을 전개하는 소논문 본 논문은 4개 대학 개혁주의 학술연구회 발표 논문임.
4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4.08 최종저작일 2006.11
42P 미리보기
한국교회를 위한 개혁주의 부흥론
  • 미리보기

    소개

    어게인 1907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 개혁주의 부흥론을 전개하는 소논문
    본 논문은 4개 대학 개혁주의 학술연구회 발표 논문임.

    목차

    서 론
    본 론
    Ⅰ.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본 부흥관
    1) 성경 속의 부흥관
    2) 교회사 속의 부흥관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1792~1875)의 부흥관
    1904년 웨일즈 부흥운동
    Ⅱ. 한국교회와 부흥관
    1) 평양대부흥운동
    2) Again 1907운동
    3) 한국교회와 부흥
    Ⅲ. 개혁주의적 부흥관 - 청교도의 부흥관을 중심으로
    1) 부흥의 정의
    2) 부흥의 전제
    3) 부흥의 주체와 수단
    4) 부흥의 특징과 결과
    5) 부흥의 장애물
    Ⅳ. 한국교회를 위한 부흥관
    결 론

    본문내용

    서 론

    Theologia pro ecclesia (교회를 위한 신학). 이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신학하는 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구호 중 하나이다. 개혁주의 신학은 수직적으로는 Soli Deo Gloria, 수평적으로는 Theologia pro ecclesia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호는 단순히 구호일 뿐, 실제 신학의 영역(field)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신학이 하나님의 영광은 물론이고 교회를 위한 학문이 되어야 하지만 신학과 교회의 괴리가 매우 심각한 상황 가운데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는 신학을 교회 현장 가운데 접목해야 할 소명을 갖고 있으며, 교회 현장을 위한 신학을 해야 할 사명을 갖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성경으로 하여금 우리를 해석하도록 만들 뿐만 아니라, 지난 날의 역사를 통해 현재 교회의 모습을 반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개혁주의 신학(Reformed Theology)을 표방하는 4개 신학대학원이 매년 종교개혁기념일을 맞아 학술제를 개최하고 함께 개혁신학을 고민하는 것은 큰 의의를 지닌다. 특별히 이번 학술제가 정한 “2007년 평양대부흥 100주년을 즈음하여 한국교회가 극복해야 할 현실은 무엇이고, 지향해야 할 미래는 무엇인가?”라는 주제는 본 학술제의 취지에 매우 적합하다.
    그렇다면,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의 100주년을 즈음한 한국교회가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는 무엇일까? 다름아닌 “부흥관”(Understanding of Revival)일 것이다. 한국교회 곳곳에서 ‘부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00년 전의 부흥을 재현하려는 움직임들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일어나고 있는 부흥에 대한 관심과 부흥을 추구하려는 여러 운동들에 대하여 건전한 신학적 비판을 하는 이는 많지 않다. 외형에만 큰 관심을 두어온 한국교회의 모습이 부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교회의 부흥관을 점검하는 것은 매우 적실(relevance)하다. 부흥에 대한 바른 신학적 관점을 제시해 주지 않는다면 오히려 한국교회를 망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늘날 한국교회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모습들을 볼 때에 한국교회가 소유한 부흥관의 신학이 얼마나 부실하며, 역사적으로 있었던 부흥운동들을 보는 성경적, 신학적 안목의 천박함을 보게 된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한국교회를 위한 개혁주의적 부흥관”을 고찰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간하배, 한국장로교 신학사상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7, 개정판).
    · 고려(反告訴)역사편찬위원회, 고려 25년사 (서울: 경향문화사, 2002).
    · 김남준, 거룩한 부흥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9).
    · 金英才, 韓國敎會史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2).
    · 김요나, 총신 90년사 (서울: 양문, 1991).
    · 박용규, 평양대부흥운동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0).
    ·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1832~1910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 서영일, 박윤선의 개혁신학 연구 (서울: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 2000).
    · 안명준 외, 한국교회의 문제점과 극복 방안 (서울: 이컴비즈넷, 2006).
    · 더글라스 포터, 세계 10대 부흥의 역사, 박현식 역 (서울: 가리온, 2002).
    · 윙키 프래트니, 권혁재 역, 기독교 부흥운동사 (서울: 나침반, 1997).
    · 앤드류 톰슨, 엄경희 역, 청교도의 황태자 죤 오웬 (서울: 지평서원, 2006).
    · Berkhof, Louis,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Pub., 1941), 권수경, 이상원 역, 『조직신학 (하)』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 D. M. Lloyd-Jones, Revival : Can We Make It Happen? (Wheaton, IL: Crossway, 1987), 서문강 역, 『부흥』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8).
    · __________________, Joy unspeakable: power & renewal in the Holy Spirit (Wheaton: Harold Shaw Publisers, 1985), 정원태 역, 『성령세례』 (서울: CLC, 1995).
    · __________________, “Conversion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Knowing the Times (Banner of Truth, 1989), 서문강 역, 『시대의 표적』(서울: CLC, 1993).
    · __________________, Preaching & Preachers (London: Hodder & Stoughton, 1971), 서문강 역, 『목사와 설교』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 __________________, The Puritans: Their origins and successor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87), 서문강 역, 『청교도 신앙 :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2, 재판).
    · __________________, What is an evangelical? (Edinburg: The Banner of Truth, 1992), 이길상 역,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서울: 복있는 사람, 2004).
    · Eifion Evans, The Welsh Revival of 1904 (Bridgend: Evangelical Press of Wales, 1969), 윤석인 옮김, 『1904 웨일즈 대부흥』(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5).
    · Francis A. Schaeffer, Death in the city (Chicago: Inter-varsity Press, 1969), 이선봉 역, 『개혁과 부흥』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5).
    · Murray, I. H., David Martyn Lloyd-Jones : The first forty years, 1899-1939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1982), 서문강 역, 『마틴 로이드 죤즈의 초기 40년』 (서울: 청교도신앙사, 1999).
    · ______________, Pentecost-Today?: the biblical basis for understanding revival (Edinburg: The Banner of Truth, 1998), 서창원 옮김, 『성경적 부흥관 바로 세우기』(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1).
    · ______________, Revival & Revivalism: The Making and Marching of American Evangelicalism 1750-1858 (Edinburg: The Banner of Truth, 1994), 신호섭 역, 『부흥과 부흥주의』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