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사외이사제도
- 최초 등록일
- 2008.12.26
- 최종 저작일
- 2008.12
- 1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200원

소개글
SK텔레콤-사외이사제도
목차
1. 연 혁
2. 본문 사례 요약
3. 사외이사제도
4. 사외이사제도의 장 단점
5. 토의 과제
본문내용
연 혁
1984. 03.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 설립
1989. 07. 휴대전화 서비스 개시
1994. 06. SK그룹 최대 주주로 경영 참여
1997. 12. CDMA 이동전화 가입자 300만 돌파
1999. 12. 이동전화 가입자 1,000만 돌파
2002. 01. 세계 최초 동기식 IMT-2000상용서비스 개시
2005. 05. SK-팬택앤큐리텔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적 제휴
2006. 01. 매출 10조 돌파
본문 사례 요약
(SK텔레콤의 사외이사제 도입 당시 현황)
SK텔레콤은 1984년 한국통신의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이 그 모태이다. ‘한국이동통신’은 1994년 정부의 공기업민영화계획의 일환으로 선경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공기업의 비효율성을 없애려는 목적에서 시작한 민영화는 SK그룹의 부당내부거래에 악용 되었다. 이와 같은 SK텔레콤의 부당내부거래행위에 대하여 공정거래위원회가 시정명령을 내리자 시민단체인 ‘참여연대’는 SK텔레콤측에 부당내부거래로 유출된 이익의 환수, 부당내부거래에 관련된 임원의 퇴진, 사외이사와 사외감사등 8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하였으나 SK텔레콤측은 거부를 하였다. 이에 ‘참여연대’는 소액주주들과 외국인 주주들을 적극 참여시켜 SK텔레콤측에 사외이사 추천권보장을 요구하였고 결국 SK텔레콤측은 1998년 3월 26일 소액주주의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사외이사제도
사외이사란?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경영실무를 담당하지 않으면서 업무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이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하는 이사를 말한다.
도입배경
사외이사제도는 연혁적으로 1950년대에 미국에서 제일 먼저 도입하였다. 미국은 주식소유의 분산이 진전되면서 주주의 힘이 약해지고 경영자 우위의 시대가 도래하자 경영자의 전횡을 견제할 필요성이 증대되어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도입배경
우리나라에서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초 대기업의 경영실패와 부실화의 주요인으로 이사회가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경영진을 감시하지 못하여 부실을 초래했다는 분위기가 만연되자, 정부는 사외이사가 이사회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기업경영의 공정성투명성을 제고하고 지배구조를 세계적인 기준에 맞추기 위하여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였다.
사외이사제도의 긍정적 평가
경영진의 업무 평가 감독
객관적으로 경영진의 업무집행을 평가, 감독하고 경영진의 영업계획에 대하여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를 검토하고 평가하는 일
2. 사외이사들의 전문성
사내이사들에게는 부족할 수 있는 전문성을 사외이사를 통하여 보완
3. 위기상황에 중요 역할 수행
경영진의 무능력으로 회사가 경영상 위기에 처한 경우 사외이사가 주축이 되어 극복할 수 있음
사외이사제도의 부정적 평가
사외이사의 독립성
사외이사는 이사회 임기를 최고경영자에게 사실상 의존하고 있고 사외이사를 지명하는 지명위원회도 최고경영자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
3. 업무의 효율성
1년에 평균 12회 이사회 개최
2. 감독동기 및 능력
위기상황이 아니면 최고경영자에게 도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
토의 과제
2003년 분식회계 파문, 소버린과의 경영권 분쟁에 휩싸였던 SK는 그로부터 3년이 채 안된 지금 매출 60조원 수출액 200억 돌파등 창사이래 최고의 실적을 올렸다. 그 중심에는 “이사회 중심 경영”이 있었다. SK는 사외이사 비중이 전체이사회의 70%에 달하고 더 나아가 사외이사제의 전 계열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