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윤정,『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지형도』, 푸른사상, 2005.
· 권성우,『모더니티와 타자의 현상학』, 솔, 1999.
· 구자황,『근대문학과 구인회』,깊은샘 ,1996.
· 김광균,「설야」,『조선일보』, 1938. 1. 8.
· 김기림,「1933년의 시단의 회고와 전망」,『조선일보』, 1933. 12. 13.
· 김기림,「30년대 도미(掉尾)의 시단 동태」,『인문평론』1940, 12, 김학동 편,『김기림전집』2,
· 심설당, 1988.
· 김용직,『한국현대시사』, 한국문연, 1996.
· 김유중,『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태학사, 1996.
· 김윤식,『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 김윤식ㆍ정호웅,『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 김재홍,「일제강점기의 현대시 약사」,『한국현대시의 사적탐구』, 일지사 , 1998.
· 김학동 외,『김광균 연구』, 국학자료원, 2006.
· 박혜경,『한국시의 모더니즘 수용양상』, 명지대인문과학연구론총 , 1999.
· 서준섭,「구인회와 모더니즘」,『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이선영 편, 한길사, 1990.
· 서준섭,『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2000.
· 엄성원,「우울한 내면의 도시적 풍경화 --『와사등』시편을 중심으로」,『김광균 연구』,
· 김학동 외 편, 국학자료원, 2002.
· 유
· 성호,「이미지즘 시학의 방법적 수용과 그 굴절」,『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
· 조정래 외, 평민사, 1999.
· 이명희,「시와 소설과 ‘구인회’의 의미」,『근대문학과 구인회』, 깊은샘, 1996.
· 이선영,『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한길사, 1990.
· 장석주,『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 정지용,「카페 프란스」,『학조』, 1926. 6.
· 정지용,『백록담』재판:백양당, 1946.
· 정지용,『정지용시집』, 시문학사, 1935.
· 정현숙,『박태원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3.
· 정희모,「풍요와 빈곤, 기대와 불안의 변증법」,『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
· 조정래 외, 평민사, 1999.
· 조달곤,『한국 모더니즘 시형의 지형도』, 국학자료원, 2006.
· 한계전,「1930년대 시문학의 일반적 경향」,『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이선영 편,
· 한길사, 1990.
· 한상규,「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자의식」,『이상문학전집』, 4, 문학사상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