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료
· 한국문학대표작선, 2, <염상섭 삼대>, 문학사상사, 7판 1990(초판 1986)
· (2) 단행본
· 김경수외, 염상섭문학의 재조명-문학사와 비평 5집, 새미, 1997
· 김병익외,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82
· 김열규 신동욱 편집, 염상섭 연구, 새문사, 1982
·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선명문화사, 1968
·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7
· 김윤식,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84
·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2
· 김윤식 김현,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1976
· 김종균, 염상섭연구, 고려대출판부, 1974
·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80
· 서종택, 한국근대소설의 구조, 시문학사, 1982
· 이인모, 문체론, 동화문화사, 1960
·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 정한숙, 현대한국작가론, 고려대출판부, 1976
· 정현기, 한국근대소설의 인물유형, 인문당, 1983
·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74
· (3) 논문
· 김경수, “염상섭 장편소설의 시학”, 염상섭문학의 재조명-문학사와 비평 5집, 새미, 1997
· 김동인, “한국근대소설고”, 評論選集 : 新韓國文學文學全集 48, 서울 : 語文間, 1973
· 김병익, “갈등의 사회학”,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82
· 김병익, “리얼리즘의 기법과 정신”, 김윤식 김현,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 1976
· 김영호, “염상섭의 <삼대>에 나타난 갈등연구”, 숭전대 석사, 1980
· 김우종, “산문정신의 구도자”, 문학사상 6호, 1973.3
· 김윤식, “염상섭의 소설구조”, 김윤식편,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77
· 김재용, “염상섭과 민족의식-<삼대>와 <효풍>을 중심으로, 염상섭문학의 재조명-문학사와
· 비평 5집, 새미, 1997
· 김정희, “염상섭 소설의 인물 연구”, 연세대 석사, 1980
· 김 현, “염상섭과 발자크”, 김윤식편,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77
· 김 현, “식민지시대의 문학(1)”, 김윤식편,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77
· 서종택, “1930년대 사회와 소설의 구조”, 한국근대소설의 구조, 시문학사, 1982
· 신동욱, “염상섭의 <삼대>”, 김윤식편,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77
· 염무웅, “식민지적 변모와 그 한계”, 한국문학 3호, 1966.3
· 오현봉, “<삼대> 소고”, 국어국문학 71호, 1975.5,
· 유병석, “염상섭 전반기 소설 연구”, 서울대 박사, 1985
· 유성희, “염상섭 소설의 인물 연구-<삼대>를 중심으로”, 경북대 석사, 1988
· 유종호, “죽음과 싸움-염상섭에 있어서의 삶”, 한국문학, 1976.7
· 이주형, “민족주의 운동과 <삼대>”, 김열규 신동욱 편집, 염상섭연구, 새문사, 1982
· 이현정, “염상섭의 <삼대> 연구 : 작중인물들의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강원대교육대 석사,
· 1997
· 장호익, “염상섭의 <삼대>에 나타난 성격 연구”, 조선대 석사, 1985
· 전기철, “<삼대>와 <탁류>의 대비고”, 서울대 석사, 1983
· 정명환, “염상섭과 졸라”, 김윤식편, 염상섭, 문학과 지성사, 1977
· 정한모, “염상섭의 문체와 어휘구성상의 특성”, 문학사상 6호 1973.3
· 정현기, “<삼대>·<탁류>·<태평천하>의 소설세계에 나타난 인물연구”, 연세대 박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