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문법의식상승 기법을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

“문법 교육은 영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전제로 학교현장을 들여다보았을 때, 영어 교사가 문법 용어를 쓰면서 수업을 하거나 문법 설명을 하는 것이 시대착오적인 행위로 여겨지는가 하면 또한 많은 교사들이 수업 중 문법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음을 공감하고 있기도 하는 아주 모순된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우리가 탈피해야 하는 것이 종래의 문법 번역식 수업방식이지 문법 교육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1980년대에 영어 교육에 있어서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않으므로 가르칠 필요가 없다는 문법 교육 무용론설이 받아들여진 적이 있었다. 이는 학습자에게 충분한 언어 입력이 주어진다면 따로 문법 지도 없이도 무의식적이며 암시적으로 문법을 습득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EFL상황에서는 자연적인 언어 습득 상황과는 달리 영어로 의사소통할 기회가 많지 않고 하루에 몇 시간 동안만 영어에 노출되어 극히 제한된 양의 언어 입력을 받는 경우가 보통이므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문법을 습득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논의의 핵심은 문법을 가르쳐야 하는가와 가르치지 말아야 하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문법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 가와 그 접근법에 있다. 즉 어떻게 문법 요소들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수업 속에 효율적으로 녹아들게 하는가가 중요한 연구 과제인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법 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 이전의 번역식 수업 혹은 명시적이고 연역적인 문법 설명으로 일관된 수업을 탈피한 새로운 접근법인 문법의식상승에 관하여 살펴보고 문법 의식 상승수업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여 그 적용 가능성 및 효율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3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6.09 최종저작일 2008.04
35P 미리보기
문법의식상승 기법을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
  • 미리보기

    소개

    “문법 교육은 영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전제로 학교현장을 들여다보았을 때, 영어 교사가 문법 용어를 쓰면서 수업을 하거나 문법 설명을 하는 것이 시대착오적인 행위로 여겨지는가 하면 또한 많은 교사들이 수업 중 문법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음을 공감하고 있기도 하는 아주 모순된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우리가 탈피해야 하는 것이 종래의 문법 번역식 수업방식이지 문법 교육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1980년대에 영어 교육에 있어서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않으므로 가르칠 필요가 없다는 문법 교육 무용론설이 받아들여진 적이 있었다. 이는 학습자에게 충분한 언어 입력이 주어진다면 따로 문법 지도 없이도 무의식적이며 암시적으로 문법을 습득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EFL상황에서는 자연적인 언어 습득 상황과는 달리 영어로 의사소통할 기회가 많지 않고 하루에 몇 시간 동안만 영어에 노출되어 극히 제한된 양의 언어 입력을 받는 경우가 보통이므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문법을 습득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논의의 핵심은 문법을 가르쳐야 하는가와 가르치지 말아야 하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문법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 가와 그 접근법에 있다. 즉 어떻게 문법 요소들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수업 속에 효율적으로 녹아들게 하는가가 중요한 연구 과제인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법 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 이전의 번역식 수업 혹은 명시적이고 연역적인 문법 설명으로 일관된 수업을 탈피한 새로운 접근법인 문법의식상승에 관하여 살펴보고 문법 의식 상승수업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여 그 적용 가능성 및 효율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언어형태중심 지도법
    2. 알아차리기(noticing)의 정의

    Ⅲ. 문법의식상승 교수-학습 모형 구성
    1.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을 이용한 수업자료 구성 및 교수-학습 모형

    Ⅳ. 연구문제 및 가설

    Ⅴ. 연구 방법
    1. 실험 대상 및 실험기간
    2. 실험처치
    3. 측정도구 및 실험설계
    4. 가설 검증 및 자료 처리

    Ⅵ. 결과 및 해석
    1. 문법학습에 대한 관심도 증가
    2. 문법 의식 상승을 적용한 학습과 이해력의 상관관계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전통적인 영어 교육에서 문법 학습은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으나, 언어 형태에 대한 학습이 언어 습득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여 문법 학습을 배제하자는 주장이 생겼다. 그러나 최근의 영문법 학습의 경향은 전혀 하지 말아야 한다거나 영문법 교육만 해야 한다는 입장을 벗어나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안에서 배우고자 하는 언어 형태에 자연스럽게 의식을 두어 언어 형태를 익히게 하는 문법 학습을 지향하고 있다. 문법 의식 상승 과업(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은 이러한 추세에서 나온 문법 학습 방법이다. 이 과업의 교육 현장 적용을 살펴보는 것은 문법 학습의 효과적인 방안을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제2언어로 영어를 배우는 모국어화자들에게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는 항상 고민이었다. 문법이란 용어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는데, 의미를 전달하기위해 사용되는 형식적 수단일 수도 있고, 언어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원일 수도 있다. 밸스톤(Barstone)은 문법이 형태(form), 의미(meaning), 사용(use)의 세 가지가 상호의존하면서 형성된 상당히 광대하고 다양한 현상이라고 하였다 Rob Barstone, 『Grammar』, Oxford. 1994
    . 형태가 의미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때, 문법은 언어의 통합적 부분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문법은 의미를 전달하고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언어 교수방법과 접근은 끊임없이 문법교육에 영향을 끼쳐왔고 본래 교사의 문법과업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 학습자가 그것을 학습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했다. 요즘에 좀 더 비중을 두는 부분은 문법이 무엇인지 보다는 학생들이 그 문법 지식을 가지고 의사소통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시키는 데 있다.

    참고자료

    · 고유미. 영어문법 지도의 새로운 접근 방법 서울 성산중.
    · 교육부, 제 7차 교육과정, 1997, p. 47
    · 민찬규(2002).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 교수법적 특징과 영어교육에의 적용 방안. Foreign Languages Education, 9(1), 69-87.
    · Fotos, S. (1993). Consciousness-raising and noticing through focus on form: Grammar task performance vs. formal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14(4), 385-407.
    · Fotos, S. (1994). Integrating grammar instruction and communicative language use through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TESOL Quarterly, 28(2), 323-351.
    · Hedge, T. (2000).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nguage classroo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Long, Michael (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ees de Bot, Claire Kramsch & Ralph Ginsberb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 39-52). Amsterdam: John Benjamins.
    · Mills, D., & Salzmann, A. (1998). Grammar Safari [On-line]. Intensive English Institute, DEIL LinguaCenter, University of Illinois, IL. Available from: http://deil.lang.uiuc.edu/web.pages/grammarsafari.html
    · Rob Barstone, (1994) Grammar. Oxford.
    · Schmidt, R., & Frota, S. (1996). Consciousness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A tutorial on the role of attention and awareness. In R. Schmidt(Ed.), Attention and awarenes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cal Report No. 9) (pp. 1-6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 Spada, N., & Lightbown, (1993). I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in the L2 classroom.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5, 205-22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