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항목별로 비교·대조하여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10.31
- 최종 저작일
- 201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항목별로 비교·대조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가.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나. 말하기의 교육의 목표
다. 말하기 교육의 방향
2. PPP 교수법 (5단계: 도입 - 제시 - 연습 - 활동 - 마무리)
3. TTT 교수법 (과제 전 - 과제 수행 - 과제 후)
4. TTT교수법과 PPP교수법의 비교 및 대조
가. 등장 배경
나. 교수 방법
5. PPP 수업모형의 장점
6. PPP 수업모형의 단점
7. 한계
8. 결론
본문내용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하고 듣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런데 PPP 교수법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배워왔던 ‘영어’는 아주 긴 시간을 소비했지만, 제대로 대화를 하지 못하는 순간들도 적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상을 경험한 사람들이 많다. ‘한국식 영어’ 라고 비난을 받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법 중심의 효율적이 교육이 TTT 교수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과제 중심의 교육으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경험하는 문제들을 판단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있는 과제를 수행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언어력이 향상할 수 있는 까닭이다.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 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 교수법을 활용하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항목별로 비교ㆍ대조 설명하고자 한다.
가.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말하기는 인간이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수단 이며 도구이다. 말하지 않고 생활하는 날이 없을 정도로 말하기 활동은 인간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를 교육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는 사회적인 측면, 개인적인 측면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Rivers(1981)에 의하면 일상적인 언어 활동에서 말하기는 30%, 듣기는 45%, 읽기와 쓰기는 각각 16%, 9%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그만큼 인간의 일상적인 활동은 말하고 듣는 활동에 치중해 있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생활권에서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목적,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생각을 주고받으려는 목적, 학문적인 목적 등 다양한 필요에 의해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각각의 학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말하기는 필수적인 언어 기능이기도 하다. 말하기는 한국어 학습의 가장 큰 동기이기도 한 것이다.
최근과 같은 세계화 시대에서 외국어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으로 평가되는데, 의사소통 능력은 일차적으로 말하기 능력을 포한한다.
참고 자료
조위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회원용), 2019.
김선정ㆍ김용경ㆍ박석준ㆍ이동은ㆍ이미혜, 「한국어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2019. 초판 12쇄 발행.
김균태, 이기종(2005), 「한국어」, 한남대학교출판부.
김정숙(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김정숙(2008), “한국어 교수법의 일반 원리”,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