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 송병기 <광무개혁 연구- 그 성격을 중심으로->, <<사학지>>10,단국사학회
· 김태웅, <<뿌리깊은 한국사 생이 깊은 이야기 6>>, 솔 2002
· 광무개혁연구반, <‘광무개혁’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 현실>>, 제8권,한국역사연구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96
· 신용하,<<독립협회와 개화운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 신용하,<<갑오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의 사회사>>
· 서영희,《대한제국 정치연구사》,서울대 출판부, 2003
· 한영우 ,《 대한제국은 근대제국 인가 》, 푸른역사, 2006
·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태학사 2000
· 논문
· 이민원,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독립협회에 대한 연구 성과 과제>, <<한국사론>>25, 1995
· 이태진, 구대열, 김도형, 주진오, <대한제국 100주년 좌담-고종과 대한제국을 둘러싼 최근 논쟁>,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1997
· 강만길 외, <<한국사 11 -근대 민족의 형성->>, 한길사,1976
· 도면회 <정치사적 측면에서 본 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역사와 현실》19호 1996
· 나애자 <대한제국의 권력구조와 광무개혁>,《한국사》7호 한길사 1994
· 도면회 <황제권 주임의 국민국가체제의 수립과 좌절>《역사와 현실》50호 2003
· 서영희 <광무개혁의 형성과 개혁정책의 추진> 《역사와 현실》26호 1997
· 서진교 <대한제국기 정치지배세력과 정국운영> 《한국 근 현대사 연구》26호 2003
· 양상현 <동도서기론과 광무개혁의 성격> 《동양학》1998
· 이민원 < 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동양학》2000
· 서진교 < 대한제국기 정치지배세력과 정국운영> 《한국근현대사연구》26호 2003
· 왕현종 < 대한제국기 입헌논의와 근대국가론> 《한국문화》29호 2002
· 이윤상 < 대한제국기 국가와 국왕의 위상제고사업>《진단학보》95호 2003
· 2000년 이후의 책
· - 서인한,《대한제국의 군사제도》, 혜안 2000
· - 윤완,《대한제국말기 민립학교의 교육활동연구》, 한결, 2001
· - 한영우,《명성황후와 대한제국》, 효형출판 2001
· - 현광호,《대한제국의 대외정책》, 신서원 2002
· - 국립전주박물관, 《대한제국기 고문서 : 2003년도 춘계기획특별전》, 국립전주박물관, 2003
· - 서영희,《『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출판부 2003
· - 권태억 외,《『한국 근대사회와 문화』1》, 서울대출판부 2003
· - 박은봉 저, 오현균ㆍ이원우ㆍ홍성지 그림《『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편지4』》, 웅진닷컴 2003
· - 김제방,《고종 황제의 최후 : 김제방의 대한제국역사기행시》, 지문사, 2004
· - 한영우,《『다시 찾는 우리 역사 3 - 근대ㆍ현대 -』》, 경세원 2004
· - 역사학연구소편, 《『함께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 - 홍영기,《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 , 일조각 2004
· - 정교,《대한계년사1》, 소명 2004
· - 정교,《대한계년사2》, 소명 2004
· - 정교,《대한계년사3》, 소명 2004
· - 노용필,《대한제국기 서울사람들 - 우리 역사속의 사람들 3 -》, 어진이 2004
· - 김형목,《대한제국기 야학운동》, 경인문화사, 2005
· - 최덕수,《대한제국과 국제환경 : 상호인식의 충돌과 접합》, 선인, 2005
· - Grebst, W.A:son,《스웨덴기자 아손, 100년전 한국을 걷다 : 을사조양전야 대한제국여행기》, 책과함께, 2005
· - 정범준,《제국의 후예들 - 대한제국 후예들의 삶으로 읽는 한반도 백년사》, 황소자리, 2006
· - 한국은행, 《(고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한국의 화폐》, 한국은행, 2006
· - 한영우,《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korean studies》, 푸른역사, 2006
· - 한철호, 《대한제국기 지방 사람들》, 어진이, 2006
· - 원유한,《한국화폐사 : 고대부터 대한제국시대까지》, 한국은행발권국, 2006
· - 한시준,《대한제국군에서 한국광복군까지 : 황학수의 독립운동》, 역사공간, 2006
· - 고영자,《청일전쟁과 대한제국 = 대한제국의 몰락을 주도한 일본의 교란책》, 탱자출판사, 2006
· - Seroshevskii, Vastslav, 김진영, 권정임, 안상훈, 안지영, 이장욱,《코레야 1903년 가을 : 러시아학자 세로셰프스키의 대한제국 견문록》, 개마고원, 2006
· 논문
· 「논문」
· - 오진석 <광무개혁기 근대산업육성정책의 내용과 성격> 《역사학보》 제 193권 2007
· - 박윤재 <특집 :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 대한제국과 통감부의 의학체계 구상과 전개> 《동방학지》 제 139호 2007
· - 허동현 <서평 : 대한제국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한국사연구》 139호 2007
· - 박애경, 조해숙 <기획논문 : 고전문학과 공간적 상상력 ; 대한제국기 가사에 나타난 이국 형상의 의미 -서양 체험가사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제 31호 2007
· - 박성중 <논단 : 대한제국기 해세(海稅) 관할권을 둘러싼 갈등과 내장원의 해세 관할권 장악 > 《한국사학보》 제 26호 2007
· - 현광호 <연구논문 : 영일동맹 이전 주한영국공사의 대한제국 정세인식 >《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제 31호 2007
· - 현광호 <1903~1904년 대한제국의 대러시아 대응론과 정책의 추이>《동양학》제 41호 2007
· - 김영수 <대한제국을 바라보는 러시아 학계의 시각> 《역사와 현실》 제 63호 2007 3월
· - 은정태 <대한제국기 “간도문제”의 추이와 “식민화”> 《역사문제연구》 17호 2007 4월
· - 현광호 <대한제국의 대 러시아 정책> 《동방학지》136호 2006
· - 양상현 <대한제국의 군제개편과 군사 예산 운영> 《역사와 경계》 61호 2006
· - 현광호 <대한제국기 주한러시아공사의 활동> 《대구사학》 83호 2006
· - 김동노 <대한제국기 황성신문에 나타난 근대적 개혁관> 《사회와 역사》 통권 제 69집 2006 3월
· - 권행가 <사진 속에 재현된 대한제국 황제와 표상 - 고종의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구 한국근대미술사학) 제 16호 2006
· - 이영호 <한국 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 2004~2005 : 한국사 ; 비평논문 :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대한제국 평가논쟁 -2005년 한국근대사 연구의 쟁점-> 《역사학회》 191호 2006
· - 구희진 <대한제국 전반기 "국민의기(國民義氣)"의 고취와 국민교육>《한국사연구》제 134호 2006
· - 양상현 <대한제국의 군제 개편과 군사 예산 운영> 《역사와 경계》 제 61호 2006
· - 정민재 <근대 의학 수용에 대한 자주적 노력 - 개항에서 대한제국시기까지 -> 《한성사학》 제 21호 2006
· - 현광호 <대한제국 초기 주한일본공사의 활동> 《이화사학연구》 제 33호 2006
· - 김용직 <개화기 한국의 근대적 공론장과 공론형성 연구: 독립협회와 「독립신문」을 중심으로>《한국동북아논총》제 38권 2006
· - 이성환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중립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제정치연구》 제 8권 2005
· - 손병규 <대한제국기의 호구정책 - 단성(丹城) 배양리와 제주 덕수리(德修理)의 사례 -> 《대동문화연주》 제 49권 2005
· - 은정태 <1899년 한,청통상조약 체결과 대한제국> 《역사학보》 제 186권 2005
· - 이윤상 <대한제국의 생존전략과 "을사조약"> 《역사학보》 제 188권 2005
· - 신명호 <대한제국기의 어진(御眞) 제작> 《조선시대학보》 제 33권 2005
· - 김지연 <대한제국 관보(官報)에 나타나는 일본식 한자어에 대하여>《일본문화학보》 제 26권 2005
· - 강상교 <특집 : 19세기 동아시아의 정치와 근대 개혁사상 ; 고종의 대내외 정세인식과 대한제국 외교의 배경> 《동양정치사상사》 제 4권 2호 2005
· - 김건우 <갑오개혁기,대한제국기의 사령장 관고(官誥)에 관한 연구> 《고문서연구》 제 26권 005
· - 송방송 <대한제국 시절 군악대의 공연양상 - 최초 양악대의 공연종목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사학보》 제 35권 2005
· - 백동현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와 근대․민족담론의 변화> 《내일을 여는 역사》 19호 2005 3월
· - 김추윤 <대한제국기의 대축척지도> 《한국지적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5 11월
· - 최윤호 <대한제국기 광무양안의 토지소유와 농업경영에 관한 연구 - 충북진천군양안 전체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58호 2005 12월
· - 박민영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 《한국근대사연구》 34호 2005 9월
· - 김현숙 <대한제국기 미국인 고문관 문서 해제>《한국근현대사연구》 제 31집 2004 12
· - 김윤희 <사실, 이렇게 본다 1 - 제국민(制國民), 대한제국, 대한제국 황제 > 《내일을 여는 역사》 제 17호 2004 9월
· - 도면회 <사실, 이렇게본다2 -「대한국국제」와 대한제국의 정치구조> 《내일을 여는 역사》 제 17호 2004 9월
· - 현광호 <사실, 이렇게본다3 - 대한제국은 어떻게 중립화를 실현하려했나?> 《내일을 여는 역사》 제 17호 2004 9월
· - 이윤상 <사실, 이렇게본다4 - 대한제국의 재정운영과 근대국가의 경제적 기초> 《내일을 여는 역사》 제 17호 2004 9월
· - 도면회 <한국 근대사 연구의 멍에: 침략과 저항의 이분법-『대한제국 정치사연구』> 《역사와 현실》 제 53권 2004 9월
· - 김소영 <용암포사건에 대한 대한제국의 위기의식과 대응> 《한국근현대사연구》 제31집 2004 12월
· - 이영옥 <사학부 : 청조와 조선(대한제국)의 외교관계, 1895~1910> 《중국학보》 제 50권 2004
· - 전동현 <대한제국시기 중국 양계초를 통한 근대적 민권개념의 수용 -한국언론의 "신민"과 "애국" 이해-> 《중국근현대사연구》 제 21권 2004
· - 한승연 <행정지도에 관한 역사적 연구 - 대한제국시대부터 국민의정부까지 -> 《한국행정사학지》 제14권 2004
· - 송방송 <대한제국 시절 진연과 교방사의 공연활동 (1) -『고종신축진연의궤(高宗辛丑進宴儀軌)』를 중심으로-> 《한국학보》 제 30권 4호 2004
· - 서태원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 연구> 《호서사학》 제 37집 2004 4월
· - 이승렬 <광무정권의 화폐·금융정책과 대한천일은행의 영업 (The Monetary and Financial Policy of Kwangmu Begime and the Business of the Daehan Cheonil Bank)> 《한국사연구》 제 123호 2003
· - 홍원표 <독립협회의 국가건설사상: 서재필과 윤치호> 《국제정치논총》제43권 4호 2003
· - 김재승 <대한제국 농상공부 통신국 관선과 연구 - 관선과의 설치와 선세규칙을 중심으로 -> 《해운물류연구》 제 38권 2003
· - 김도형 <대한제국 초기 문명개화론의 발전> 《한국사연구》 제 121권 2003
· - 김재승 <대한제국 농상공부 통신국 관선과 연구 -관선과의 조직과 인사를 중심으로->《 국제무역연구》 제 9권 1호 2003
· - 대한건축역사학회 <2003년 4월 월례회 - 대한제국기의 도시와 건축> 《건축사연구》 제 34권 2003 6월
· - 이종길 <대한제국기 토지소유관계의 변화에 대한 검토> 《부동산법학》 제 7권 2003 2
· - 서진교 <대한제국기 정치지배세력과 정국운영-군비강화책의 추진과 권력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제 26호 2003 9월
· - 최윤오<대한제국기 광무양안의 토지소유 구조와 농민층의 동향>《역사교육》 86호 2003
· - 홍준화 <대한제국기 차관교섭 실패의 원인분석 -한미차관교섭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13 2002
· - 김태웅 <대한제국기 군산의 객주와 개항 문제>《2002년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History -역사 속의 한국과 세계》 2002
· - 백동현 <대한제국기 신구학론쟁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사상사학》 19 2002
· - 김일수 <대한제국 말기 대구지역 계몽운동과 대한해협 대구지회> 《민족문화론총》 25 2002
· - 노관범 <대한제국기 박은식 저작목록의 재검토> 《한국문화》 제 30집 2002 12월
· - 박붕배 <대한제국의 국어교육과 일제 시대의 조선어 교육> 《교육한글》 제 15호 2002
· - 황현종 <대한제국기 입헌논의와 근대국가론-황제권과 권력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제 29집 2002 6월
· - 유영익 <제207회 연구모임 주제강연(2002. 10. 5) : 청년 이승만 연구를 통해 본 대한제국기의 정치와 사상의 흐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 제 56권 2002
· - 김일수 <대한제국 말기 대구지역 계몽운동과 대한협회 대구지회> 《민족문화총론》 제 25권 2002
· - 현광호 <외세에 대응한 대한제국의 강병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 - 현광호 <대한제국기 집권층의 동북아정세 인식> 《사학연구》 제63호 2001
· - 김태명 <대한제국 전기의 식산흥업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상학연구》 19 2001
· - 백동현 <대한제국기 언론에 나타난 동양주의 논리와 그 극복> 《한국사상사학》 17 2001
· - 강창일 <서평 : 조작되고 왜곡된 식민사학의 청산 : 한영우,·명성황후와 대한제국> 《서평문화》 44 2001
· - 최덕규 <제 1 부 한국과 러시아관계의 태동 : 제 1 장 대한제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 1896 ~ 1906 ) - 러시아의 압록강 삼림채벌권 개발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과 러시아관계 평가와 전망》 2001
· - 윤대성<대한제국의 광무양안에 의한 근대적 소유권의 확립>《법사학연구》제 24권 2001
· - 한영우 <대한제국 성립과정과 《 대예의궤 》>《한국사론》제 45권 2001
· - 김태명 <대한제국 전기의 식산흥업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사학연구》 제15집 제2호 2001 12월
· - 서진교 <대한제국기 고종의 황실추숭사업과 황제권의 강화의 사상적 기초> 《한국근현대사연구》 19호 2001 12월
· - 김종헌 <대한제국의 등대건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호 2000
· - 권구훈 <대한제국기 일본군의 침략과 민족의 저항 (1897~1910)> 2000
· - 이민원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치 -선포와 존재의 의미를 중심으로-> 《충북사학》 제11․12합집 -학산금진봉교수정년기념특집호- 2000
· - 한영우 <을미지변 대한제국 성립과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 > 《한국학보》 제100집 2000
· - 현광호 <대한제국의 중립정책과 중립파의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4집 2000
· - 현광호 <대한제국기 삼국제휴방안과 그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4집 2000
· - 신계우 <대한제국(大韓帝國), 민국(民國), 인국(人國)> 《조선왕조실록》25호 2000
· - 하유식 <대한제국기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대외인식> 《지역과 역사》 제 6호 2000 4월
· - 서영희 <대한제국의 보호국화와 일제 통감부> 《역사와 비평》 52호 가을호 2000
· - 현광호 <대한제국기 삼국제휴방안과 그 성격> 《한국근현대사 연구》 제 14집 2000 9
· - 김양식 <대한제국기 덕대․광부들의 동향과 노동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제 14집 2000 9월
· - 김도형 <대한제국기 계몽주의계열 지식층의 삼국제휴론 - 인종적 제휴론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제 13집 2000 6월
· - 정근식 <한국의 근대적 시간 체제의 형성과 일상 생활의 변화Ⅰ - 대한제국기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제 58권 2000 12월
· - 임선화 <선교사의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인식 -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를 중심으로 -> 《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제 14권 2000
· - 이민원 <학산 김진봉교수 정년기념특집호 :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치 -선포와 존재의 의미를 중심으로-> 《충북사학》 제 11․12권 2000
· - 김동택 <19 세기말 근대국가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균열 : 갑오개혁과 광무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4권 4호 2000
· - 양정현 <대한제국기 ‘전’류 역사서와 그 역사관> 역사교육 제72집 1999
· - 서진교 <대한제국기 상무사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1 1999
· - 이태진 <대한제국의 황제정과「민국」 정치이념 -국기의 제작·보급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2 1999
· - 박성준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역둔토 경영의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6 1999
· - 전우용 <대한제국기~일제초기 선혜청 창내장의 형성과 전개 -서울 남대문 시장의 성립 경위-> 《서울학연구》 제12호 1999
· - 장경희 <대한제국기 명성황후의 국장의물 연구> 《제42회 전국역사학대회발표요지》 1999
· - 한철호 <대한제국 초기 한성부 도시개조사업과 그 의의 -‘친미’ 개화파의 치도사업을 중심으로-> 《향토서울》 제59호 1999
· - 송인주 <대한제국기의 초등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 《역사교육논집》 제 25권 1999
· - 김양식 <대한제국기 역둔토 소작농민층의 지향>《한국근현대사 연구》제 10집 1999 6
· - 이상찬 <대한제국시기 보부상의 정치적 진출 배경> 《한국문화》 제 23집 1999 6월
· - 현광호 <대한제국기(1897~1904) 망명자문제의 정치외교적 성격> 《사학연구》 제 58․59호 1999 12월
· - 금항구 <대한제국기 자강론의 형성과 전개> 《문화사학》 제 11․12․13호 1999 12월
· - 김영희 <대한제국 시기의 개신유학자들의 언론사상과 양계초>《한국언론학보》43~44호 1999
· - 조영환 김순일 <대한제국 건축교육기관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18권 2호 1998 10월
· - 조재곤<대한제국 말기 ( 1904 ~ 1910 ) 보부상 단체의 동향>《북악사론》제 5권 1998
· - 정재영 <대한제국시기 서양인의 이두연구> 《한국문화》 제 22집 1998 12월
· - 이윤상 <대한제국을 좌지우지한 외국인 고문들> 《역사와 비평》 43호 1998 5월
· - 정숭교 <대한제국기 지방학교의 설립주최와 재정> 《한국문화》 제 22집 1998 12월
· - 양상현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광산관리와 광산경영> 《역사와 현실》 제 27권 1998 3
· - 서진교 <대한제국기 고종의 황제권 강화책과 경위원> 《한국근현대사》 연구 제 9집 1998 12월
· - 양상현 <[ 부록 ] 제 27 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 1997 . 10 . 18 ) : 강연회초 ( 공동주제 : 한국근세문화의 특성 ; 개항기 (1) - 한국근대사의 역사적 성격 - ) ; 동도서기론과 광무개혁의 성격> 《동양학》 제28권 1호 1998
· - 양상현 <동도서기론과 광무개혁의 성격> 《동양학》 제28권 1998
· - 한철호 <대한제국 초기(1897~1898) 친미 개화파의 정치활동과 의회개설운동> 《한국근현대사회연구》 창간호 1998
· - 박성진 < 대한제국기 -1930년대 과학담론의 형성 및 전개과정 > 《경기사론》 제2호 중산신한우교수정년기념 1998
· - 표영수 <대한제국 말기 재일본류학생의 애국계몽사상> 《숭실사학》 제11집 1998
· - 왕현종 <대한제국기 한성부의 토지․가옥조사와 외국인 토지침탈 대책> 《서울학연구》 제10호 1998
· - 양상현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광산 관리와 광산 경영> 《역사와 현실》 제27호 1998
· - 서진교 <대한제국기 고종의 황제권 강화정책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론문》 1998
· - 정구선 <대한제국기 새로운 관리등용제도의 성립과 시행 -문관전고시험제도를 중심으로-> 1998
· - 송연옥 <대한제국기의 <기생단속령> <창기단속령> -일제 식민화의 공창제 도입의 준비 과정-> 《한국사론》 40 1998
· - 강정숙 <대한제국 일제 초기 서울의 매춘업과 공창(公娼)제도의 도입> 《서울학연구》제11호 1998
· - 김숙자 <대한제국기 민권의식의 변화과정>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 1998
· - 오련숙 <대한제국기 궁내부특진관의 운용> 《사학지》 제31집 -송병기교수정년퇴임기념호- 1998
· - 금양식 <대한제국기 역둔토 소유권 반환운동과 분쟁지 사정> 《동양학》 제28집 1998
· - 정숭교 <대한제국기 지방학교의 설립주체와 재정> 《한국문화》 22 1998
· - 서인한 <대한제국군 해산거부 항전의 양상과 그 의의> 《한국민족운동사연구》1997
· - 정연태 <대한제국 후기 계몽운동계렬의 토지수호운동과 농업진흥론>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997
· - 금태웅 <개항전후~대한제국기의 지방재정개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론문》1997
· - 서영희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역사와 현실》 제25호 1997
· - 이윤상 <대한제국기 황제 주도의 재정운영> 《역사와 현실》 제26호 1997
· - 양상현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광세 징수와 광물 독점 구입> 《울산사학》 제7집 1997
· - 양상현 <동도서기론과 광무개혁의 성격> 《동양학학술회의강연》 제27권 1997
· - 김연희 <대한제국기의 전기 사업 - 1897-1905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학회지》 제19권 2호 1997
· - 이차원 << 백년전의 이달 > 무슨일이 있었나 : 원 - 황제즉위식을 원구담에서 거행 국호 조선을 대한제국으로 고침> 《한국논단》 제 98권 1997
· -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데스크칼럼 : ` 대한제국 ` 탄생 100 주년>《지방행정》제46권 1997
· - 이태진<서양 근대 정치제도 수용의 역사적 성찰 - 개항에서 (開港) 광무개혁까지 (光武改革) -> 《진단학보》 제 84권 1997
· - 서영희 <특집: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 광무정권의 형성과 개혁정책 추진> 《역사와 현실》 제 26권 1997 12월
· - 서영희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역사와 현실》 제 25권 1997 9
· - 한국역사연구회 <특집: 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역사와 현실》 제 26권 1997 12월
· - 이영학 <특집: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 대한제국의 경제정책> 《역사와 현실》 제 26권 1997 12월
· - 이영학 <특집:대한제국의 역사적 성격 - 대한제국기 황제주도의 재정운영> 《역사와 현실》 제 26권 1997 12월
· - 오연숙 <공동연구: 대한제국기 권력기구의 성격과 운영 대한제국기 의정부의 운영과 위상> 《역사와 현실》 제 19권 1996 3월
· - 차선혜 <공동연구; 대한제국기 권력기구의 성격과 운영 대한제국기 경찰제도의 변화와 성격> 《역사와 현실》 제 19권 1996 3월
· - 조재곤 <공동연구: 대한제국기 권력기구의 성격과 운영 대한제국기 군사정책과 군사제도의 운영> 《역사와 현실》 제 19권 1996 3월
· - 도면회 <공동연구: 대한제국기 권력기구의 성격과 운영 총론:정치사적 측면에서 본 대한제국의 성격> 《역사와 현실》 제 19권 1996 3월
· 독립협회 참고문헌
· 저서
· 이정식, 《『구한말의 개혁·독립투사 서재필』》,서울대출판부, 2003
· 서재필기념회, 《서재필과 그 시대》, 서재필기념회 ,2003
· 신용하 ,《독립협회와 개화운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 논문
· 현광호, <영일동맹 이전 주한영국공사의 대한제국 정세인식> ,《역사학연구》제31집, 2007
· 이현희, <월남 이상재와 한국의 민족운동>, 《문명연지》제8권 제1호, 2007
· 허동현 ,<개화기 윤치호의 해외체험과 문화수용>, 《한국문화연구》 11호, 2006
· 이승현 ,<이상재의 국가건설 사상 -독립협회 활동기를 중심으로->,《정신문화연구》95호, 2004
· 최형익 , <한국에서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 -구한말 『독립신문』,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활동-> ,《정신문화연구》96호, 2004
· 김생기 ,<위암 장지연의 애국활동과 민족의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30호, 2002
· 백동현 ,<대한제국기 신구학론쟁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사상사학》 19호, 2002
· 유영렬 ,<개화기 윤치호의 일본인식 -그의 개혁론?외세관과 관련하여->, 《국학자료원》 2001
· 이종근 ,<민족계몽과 독립운동의 선구자 근당 임기반 재조명> ,《도산사상연구》 ,제7집 2001
· 안외순 ,<조선에서의 민주주의 수용론의 추이 -최한기에서 독립협회까지- >,《사회과학연구》 제9집 ,2000
· 임선화, <선교사의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인식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를 중심으로->, 《전남사학》 제14집,2000
· 월각달언 ,<독립협회의「국민·창출운동」> ,《조선학보》 제172집, 1999
· 권용기 ,〈「독립신문·에 나타난 ‘동포’의 검토> ,《한국사상사학》, 제12집 ,1999
· 오영섭,<갑오경장~독립협회기 면암 최익현의 상소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18호 1998
· 금신재 ,<독립협회의 대외인식과 자주국권론>,《경주사학》 제17집,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