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도시집합주거계획방법에관한연구

제가 석사과정때 제출한 학위논문 원본입니다. 본 내용은 국내 도심지의 집합주택의 계획적인 측면을 다룬 논문이며 특히 일반주택지역 안의 일정규모의 밀도와 규모를 가지는 집합주택의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 논문 입니다. 또한 체계적인 연구방법으로 논문심사 과정에서도 관심주제가 될만큼 구성이 잘되었다고 판단되어집니다. 아울러 간략한 PPT 자료를 무료로 제공 하고 있으니 PPT자료를 먼저 살펴보시고 결정하세요. 또한 본문의 텍스트, 표, 그림들이 모두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자료를 찾는 분들에게는 적극 추천합니다.
27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4.09 최종저작일 2005.12
278P 미리보기
도시집합주거계획방법에관한연구
  • 미리보기

    소개

    제가 석사과정때 제출한 학위논문 원본입니다.
    본 내용은 국내 도심지의 집합주택의 계획적인 측면을 다룬 논문이며 특히 일반주택지역 안의 일정규모의 밀도와 규모를 가지는 집합주택의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 논문 입니다. 또한 체계적인 연구방법으로 논문심사 과정에서도 관심주제가 될만큼 구성이 잘되었다고 판단되어집니다.
    아울러 간략한 PPT 자료를 무료로 제공 하고 있으니 PPT자료를 먼저 살펴보시고 결정하세요. 또한 본문의 텍스트, 표, 그림들이 모두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자료를 찾는 분들에게는 적극 추천합니다.

    목차

    1장. 서론
    2장. 우리나라 집합주택의 현황 및 문제점
    3장. 중층ㆍ고밀 집합주거의 특성
    4장. 중정형 집합주거의 유형석 특성
    5장. 사례 연구
    6장. 국내 적용성 검토 및 계획 지표 설정
    7장. 중층고밀 중정형 모델 개발 연구 및 적용성 연구
    8장. 결론

    본문내용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인구증가와 주택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한된 택지 내에서 주거수요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고층고밀 아파트의 대형화 개발과 다세대, 다가구주택의 영세 필지에 대한 고밀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한편, 가용토지자원의 고갈로 인해 기성 주택시가지에서 과거와 같은 대규모 개발은 불가능해졌다
    따라서 주택보급률이 1998년 이후 100% 상회하는 실정에서 주택의 보급과 더불어 질적 환경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집합주택이 앞으로 주거 문화를 주도하는 형식으로 지속될 전망 이여서 새로운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단위의 아파트단지 와 다세대, 다가구, 소규모 아파트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해 도시의 물리적 특성과 도시민의 삶을 연결하고 보다 나은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해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집합주거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1) 우리나라 도시 집합주택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
    2) 고층 고밀 집합주거의 유형적 대안으로 중층고밀 집합주거의 필요성을 적립
    3) 중층 고밀 집합주거의 적합한 유형으로 중정형 집합주거의 타당성을 검증
    4) 국내의 주거지의 적정한 중층고밀 중정형 집합주거의 모델 규모 제시
    5) 중층 고밀 중정형 집합주택의 한계성과 개발성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성과 필요한 여러 가지 관현법규와 제도의 개선사항을 알아본다.

    참고자료

    · Alan Balfour,『World Cities BERLIN』,Academy Editions, 1995
    · Micheal J. Crosbie,『Multi-family Housing』,image publishing, 2003
    · M. Sterm, With Rhetoric『The New York Apartment House』,Via. 1980
    · Herman Hertzberger,『Lessons for studen in architecture』,Uitgeverij 010 Publishers, 1991
    · Ian Colquhoun, 『Housing Design in Practice』Logman Group UK
    · Oscar Newman,『Community of interest』,ANCHOR PRESS, 1980
    · Sam Davis,『The Form of Housing』,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7
    · 김대진,『중정이 있는 도시형 집합주택』,건축대학교, 1997
    · 김도년,『신도시 중심상업지구의 도시설계지침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1991
    · 김정강,『초고층 집합주택의 거주성확보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1990
    · 강현덕,『도시 중정형 아파트의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8. 6
    · 강경호,『블록형 집합주택의 발전과정과 우리나라에서 정착화 방안 연구』중앙대학교박논, 2004
    · 권혁삼,『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중층․고밀 공동주택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0.12
    · 민경숙,『중정형 집합주택의 집합형태의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석사논문,1995
    · 박찬석,『필로티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계획적 주안점에 관한연구』,단국대학교, 2003
    · 박인석,『한국에서의 저층․고밀 집합주거의 가능성』, 한양대학교, 1998
    · 박세준,『도시 가로형 집합주거계획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1995
    · 심경미,『명동의 도시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 이경태,『공동주택단지의 개발밀도와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2002.12
    · 이준범,『중층․고밀 공동주거 계획기준 연구』,한양대학교, 2001
    · 이주형,『블록 순응형 공동주택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2004.6
    · 이상훈.『도시 저층고밀 집합주거 유형 개발을 위한 가구형 집합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석론, 1999
    · 이선무,『고층집합주거의 대안으로서의 중․저층고밀 집합주거 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숭실대학교, 1993
    · 장정수,『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 장재원,『도시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중정형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2000
    · 장정수,『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1994
    · 정희웅,『도시형 중․저층고밀 집합주택의 외관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2002.10
    · 정현정,『중정형 집합주거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석사논문, 1995
    · 정승원,『도심 비정형 블록내 단독주거지 개발 계획안』, 홍익대학교,2004
    · 홍민규,『일반주거지역에서의 소규모 집합주택 개발가능성 검토 및 모델 제안』중앙대학교, 2001.11
    · 이유미,『공동주택단지의 옥외환경 평가 지표와 주거사 만족도 사이의 상관성』대한건축학회논집,1999
    · 이우종,『아파트 단지 배치에 대한 일조권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토학회 통권 제33권 3호,2001
    · 임승빈,『인간적 척도의 기준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 21호, 1989
    · 손세관,『중정형 도시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문화적 비교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권 11호, 1994
    · 신남수,『저층고밀도 주거지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7
    · 중앙대학교,『고밀형 중층 고층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건설교통부
    · 장승재,『고층아파트단지 주거동으로 에워싸인 중정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 대한건축학회논집, 제15권 11호, 1999
    · 허윤경,『공동주택의 일조환경 개선을 위한 이격거리 기준에 관한 연구』,국토학회 통권 제 36권 5호, 2001
    · 건설교통부,『고밀형 중층 공동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2000
    · 대한주택공사,『공동주택단지 인동간 거리규제 개선에 관한 연구』, 1987
    · 대한주택공사,『단지계획기술지침』,1989
    · 대한주택공사,『고밀주택지 시설배치 기법연구』,1992
    · 대한주택공사,『공동주택단지의 적정 개발밀도 연구』,1987
    · 대한주택공사,『도시형 아파트 유형개발 및 도시개발 적용전략연구』,1990
    · 박철수,『주거환경의 재구축에 대한 기대와 선결조건』,환경심포지엄, 1999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서울주택기본계획 연구』,1998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서울특별시도시계획제정비(용도지역세분화)중간보고서』,서울특별시,1997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1994
    · 중앙대학교,『고밀형 중층 공동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000
    · 한양대학교,『해외 신도시 개발제도 연구』, 1989.10
    · 강대기,『현대도시론』민음사, 1989
    · 공동주택연구회,『일본의 현대하우징』, 시공문화사, 2002
    · 공동주택연구회편,『도시집합주택의 계획』발언, 1997
    · 공동주택 디자인 매뉴얼, 세진사, 2000
    · 대한국토도시학회『서양 도시계획사』,보성각, 2004
    · 도시 주거단지의 계획, 기문당, 2000
    · 박철수,『지방화시대의 도시건축』세건사, 1996
    · 이규인,『세계의 테마형 도시집합주택』,발언, 1997
    · 안영배,『건축계획론』,기문당, 1995
    · 임승빈,『환경심리․형태론』,보성문화사
    · 양동양,『도시․주거단지계획』,기문당,
    · Jan Gehl,『옥외 공간의 생활과 디자인』,화영사, 1993
    · 김광현,『주택의 미래, 미래의 주택』건축, 9703
    · 박인석,『한국에서의 저층․고밀 집합주택의 가능성』건축문화 9311
    · 양동양,『독일의 시범주거단지』,plus. 9303
    · 임동건,『근대 일본 도시집합주택의 변천과정』,이상건축, 9307
    · 건설교통부 보도자료(2003년12월31일 기준)
    · 세계일보,『부동산시장에 재건축 훈 풍(風)』, 2005.02.07
    · 최유식,『내년부터 아파트 최고평형 확대』,조선일보, 2005.11.17 일자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