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an Balfour,『World Cities BERLIN』,Academy Editions, 1995
· Micheal J. Crosbie,『Multi-family Housing』,image publishing, 2003
· M. Sterm, With Rhetoric『The New York Apartment House』,Via. 1980
· Herman Hertzberger,『Lessons for studen in architecture』,Uitgeverij 010 Publishers, 1991
· Ian Colquhoun, 『Housing Design in Practice』Logman Group UK
· Oscar Newman,『Community of interest』,ANCHOR PRESS, 1980
· Sam Davis,『The Form of Housing』,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7
· 김대진,『중정이 있는 도시형 집합주택』,건축대학교, 1997
· 김도년,『신도시 중심상업지구의 도시설계지침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1991
· 김정강,『초고층 집합주택의 거주성확보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1990
· 강현덕,『도시 중정형 아파트의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8. 6
· 강경호,『블록형 집합주택의 발전과정과 우리나라에서 정착화 방안 연구』중앙대학교박논, 2004
· 권혁삼,『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중층․고밀 공동주택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0.12
· 민경숙,『중정형 집합주택의 집합형태의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석사논문,1995
· 박찬석,『필로티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계획적 주안점에 관한연구』,단국대학교, 2003
· 박인석,『한국에서의 저층․고밀 집합주거의 가능성』, 한양대학교, 1998
· 박세준,『도시 가로형 집합주거계획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1995
· 심경미,『명동의 도시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 이경태,『공동주택단지의 개발밀도와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2002.12
· 이준범,『중층․고밀 공동주거 계획기준 연구』,한양대학교, 2001
· 이주형,『블록 순응형 공동주택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2004.6
· 이상훈.『도시 저층고밀 집합주거 유형 개발을 위한 가구형 집합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석론, 1999
· 이선무,『고층집합주거의 대안으로서의 중․저층고밀 집합주거 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숭실대학교, 1993
· 장정수,『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 장재원,『도시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중정형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2000
· 장정수,『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1994
· 정희웅,『도시형 중․저층고밀 집합주택의 외관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2002.10
· 정현정,『중정형 집합주거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석사논문, 1995
· 정승원,『도심 비정형 블록내 단독주거지 개발 계획안』, 홍익대학교,2004
· 홍민규,『일반주거지역에서의 소규모 집합주택 개발가능성 검토 및 모델 제안』중앙대학교, 2001.11
· 이유미,『공동주택단지의 옥외환경 평가 지표와 주거사 만족도 사이의 상관성』대한건축학회논집,1999
· 이우종,『아파트 단지 배치에 대한 일조권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토학회 통권 제33권 3호,2001
· 임승빈,『인간적 척도의 기준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 21호, 1989
· 손세관,『중정형 도시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문화적 비교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권 11호, 1994
· 신남수,『저층고밀도 주거지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7
· 중앙대학교,『고밀형 중층 고층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건설교통부
· 장승재,『고층아파트단지 주거동으로 에워싸인 중정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 대한건축학회논집, 제15권 11호, 1999
· 허윤경,『공동주택의 일조환경 개선을 위한 이격거리 기준에 관한 연구』,국토학회 통권 제 36권 5호, 2001
· 건설교통부,『고밀형 중층 공동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2000
· 대한주택공사,『공동주택단지 인동간 거리규제 개선에 관한 연구』, 1987
· 대한주택공사,『단지계획기술지침』,1989
· 대한주택공사,『고밀주택지 시설배치 기법연구』,1992
· 대한주택공사,『공동주택단지의 적정 개발밀도 연구』,1987
· 대한주택공사,『도시형 아파트 유형개발 및 도시개발 적용전략연구』,1990
· 박철수,『주거환경의 재구축에 대한 기대와 선결조건』,환경심포지엄, 1999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서울주택기본계획 연구』,1998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서울특별시도시계획제정비(용도지역세분화)중간보고서』,서울특별시,1997
·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1994
· 중앙대학교,『고밀형 중층 공동주택의 설계기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000
· 한양대학교,『해외 신도시 개발제도 연구』, 1989.10
· 강대기,『현대도시론』민음사, 1989
· 공동주택연구회,『일본의 현대하우징』, 시공문화사, 2002
· 공동주택연구회편,『도시집합주택의 계획』발언, 1997
· 공동주택 디자인 매뉴얼, 세진사, 2000
· 대한국토도시학회『서양 도시계획사』,보성각, 2004
· 도시 주거단지의 계획, 기문당, 2000
· 박철수,『지방화시대의 도시건축』세건사, 1996
· 이규인,『세계의 테마형 도시집합주택』,발언, 1997
· 안영배,『건축계획론』,기문당, 1995
· 임승빈,『환경심리․형태론』,보성문화사
· 양동양,『도시․주거단지계획』,기문당,
· Jan Gehl,『옥외 공간의 생활과 디자인』,화영사, 1993
· 김광현,『주택의 미래, 미래의 주택』건축, 9703
· 박인석,『한국에서의 저층․고밀 집합주택의 가능성』건축문화 9311
· 양동양,『독일의 시범주거단지』,plus. 9303
· 임동건,『근대 일본 도시집합주택의 변천과정』,이상건축, 9307
· 건설교통부 보도자료(2003년12월31일 기준)
· 세계일보,『부동산시장에 재건축 훈 풍(風)』, 2005.02.07
· 최유식,『내년부터 아파트 최고평형 확대』,조선일보, 2005.11.17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