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Ⅳ. 參考文獻 및 參考資料
· - 김재철, 『朝鮮演劇史』(경성: 학예사, 昭和14년)
· - 김천흥 『韓國의 民俗藝術』(서울: 한국민족예술진흥원, 1978)
· - 김천흥, 박헌봉, 유기룡,『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제18호』(서울: 문화재관리국, 1966)
· - 박재희, 「朝鮮時代 女樂考」(서울: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73)
· - 박진주, 심우성,『無形文化財總攬』(서울: 민학사, 1975)
· - 『園行乙卯整理儀軌』(서울: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 - 『女伶各呈才舞圖笏記』(서울: 서울대학교 규장각)
· - 『辛丑進宴儀軌』(서울: 국립국악원, 1989)
· - 高大民族文化 硏究所, 『한국민속대관 Ⅴ』(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출판사, 1982)
· - 성종실록 卷75, 丁酉 正月 壬子條
· - 성종실록 卷53 12年 辛亥 8月 甲午條
· - 성종실록 卷100 25年 癸亥 4月 壬寅條
· - 엄옥자, 「嶺南劍舞의 춤사위 硏究」(서울: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73)
· - 이두현, 『韓國假面劇』(서울: 한국가면극연구회, 1973)
· - 이두현, 『韓國의 假面劇』(서울: 일지사, 1979)
· - 장사훈, 『韓國傳統舞踊硏究』(서울: 일지사, 1990)
· - 정병호, 『양소운의 海州劍舞』(서울: 전통문화사, 1983)
· - 정병호, 「晋州劍舞」(서울: 월간 공간, 1983)
· - 한옥희, 「朝鮮宮中呈才에關한硏究」(서울: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74)
· - 함화진, 『朝鮮音樂通論』(서울: 을유문화사, 1948)
· - 성계옥, 차옥수, 『重要無形文化財 제12호 晋州劍舞』(서울: 화산문화사, 2002)
· - 『晋州劍舞 CD』(국립문화재연구소제작, 2002)
· - 김경현, 「茶山 丁若鏞과 촉석루, 진주문화」, (진주: 진주문화원 1997, 제23호)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 신윤복, <雙劍對舞>(간송미술관 소장)
· - 구희서, 『한국의 명무』(서울: 한국일보사, 1985)
· - 『의암별제(義巖別祭」』(진주: 진주민속예술보존회, 2000~2002, 창간호~제5호)
· - 김경현, 「논개의 민족성과 여성성을 보여주는 의암별제, 민속악소식 가을호」
· (남원: 국립민속국악원, 2001)
· - 김동욱, 「진주검무의 기능 보유자 지정 신청에 대한 출장 판정건」(문화재 관리국, 1978)
· - 강인숙, 「진주 전통춤 전승 및 발전 방향, 진주문화」(진주: 진주문화원, 2001, 제26호)
· - 김정녀, 「권번춤에 대한 연구-진주권번을 중심으로」(서울: 한국무용연구회, 1989, 7집)
· - 성경린, 「晋州劍舞, 舞踊韓國-韓國舞踊의 脈絡(18)」(서울: 무용한국사, 1994, 겨울호)
· - 성계옥, 『晋州義巖別祭誌』(진주: 진주민속예술보존회, 1987)
· - 송방송, 『韓國音樂通史』(서울: 일지사, 1984)
· - 「입춤, 한량무, 검무-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1966, 제19호)
· - 민태금, 「晋州劍舞와海州劍舞의比較硏究」(서울: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 - 정현석, 『敎坊歌謠』(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 차옥수,「진주검무의 표현기법과 춤사위분석」(인천: 한국체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 - KBS TV , ‘승리를 부르는 춤-진주검무, 뷰티플코리아 제 18회’ (2001.11.29)
· - http://www.nongae.org (의암별제 홈페이지)
· - 문화재청, ‘문화유산헌장’ (http://www.cha.go.kr/, 1997년 12월 8일)
· - KBS TV, 드라마 ‘황진이’
· - 강동욱, ‘교방이야기’ (강동욱 기자의 경남문화유산답사, http://kdo.g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