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과 차별적인 새로운 형태의 기업조직 형식이 출현하였다. 새로운 기업조직 양식은 다국적 기업의 다부문의 기능적 위계구조 (multidivisional functional hierarchy)와는 달리 기업 활동의 전체 과정을 조직하는 기업 간과 기업 내의 관계를 포함하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로 구성된다(Ernst and Kim, 2002, Borrus et al, 2000). 연구개발에서부터 상품의 개념설정과 디자인 그리고 원자재의 조달과 제조 (혹은 서비스의 생산), 유통 및 공급서비스가 기업활동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는 선도기업과 선도기업의 지사나 자회사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청업체와 공급업체, 서비스제공업체 그리고 표준 설정이나 연구개발 컨소시엄에 관여하는 다양한 참여업체들과의 관계도 포함된다.
이런 유형의 생산네트워크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첫째, 자유화를 통한 제도적 변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그리고 경쟁의 동학의 급격한 변화를 들 수 있다(Ernast and Kim, 2002). 이런 방식의 생산양식은 기존의 다른 산업 조직적 양식보다 더 중요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되며, 특히 기술집약적인 전자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그런 특징들이 확인된다(Borrus, et al, 2000).
이런 생산네트워크의 특징은 가치사슬을 다양하게 분리된 기능으로 해체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자원과 역량에 대한 기업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중요한 성장시장에 대한 진입을 촉진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는 데 있다. IBM이나 인텔과 같은 기업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기업들은 지식과 보완적 역량의 전파, 교환, 외부조달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전개하고 있다(Ernst and Kim, 2002).
· 김광희 외 10인. “중국의 부상 및 동북아 분업구조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 국민경제자문회의, 2006.
· 김대환, 2004,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 전환 : ‘발전국가론’의 재검토, 김대환, 조희연(편), 동아시아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전환 : 발전국가의 성립, 진화, 위기, 재편에 대한 비교정치경제학적 분석, 한울 아카데미, pp. 17-34.
· 김주훈. “동아시아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한국의 혁신정책 방향 - IT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개발원, 2004.
· 서동혁, 이경숙, 김종기, 2004, 한국 전자산업의 글로벌 영향분석과 대응전략, 산업연구원.
· 송위진, 2005, 한국의 이동통신, 추격에서 선도의 시대로, SERI 연구에세이 33, 삼성경제연구소.
· 이일영, 장하준, 심재호, 이남주, 전병유, 2002, 동아시아 산업정책의 유형: 자유화와 산업정책의 변화, 이일영 전병유 외, 개방화 속의 동아시아: 산업과 정책, 한울 아카데미.
· 이정협, 김형주, 손동원, 2005, 한국형 지역혁신체제의 모델과 전략 1 : 지역현신의 공간적 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조형제, 2005a, 지역 혁신클러스터 구축과정의 현안과 쟁점 : 울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 발표자료(2005. 3. 11.).
· 조형제, 2005b, 한국적 생산방식은 가능한가? : Hyundaim의 가능성 모색, 한울 아카데미.
· Borrus, M., D. Ernst, and S. Haggard, 2000, International Production Networks in Asia: Rivarly or Riches, Routledge.
· Coe, N. M., M. Hess, H. W. Yeung, P. Dicken, and J. Henderson, 2003, `Globalizing` Regional Development: A Global Production Networks Perspective, Working Paper No. 3,
· Dicken. P., 2003, Global Production Networks in Europe and East Asia: The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ies, GPN Working Paper 7.
· Doner, R. F., G. W. Noble, and J. Ravenhill, 2004, Production networks in East Asia`s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Yusuf S, Altaf M A, and K Nabeshima (eds), Global Production Networking and Technological Change in East Asia,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 Ernst, D., and L. Kim, 2002, Global production networks, knowledge diffusion, and local capability formation, Research Policy 31, pp.1417-1429.
· Sturgeon, T. J. and R. K. Lester, 2004, The new global supply base: new challenges for local suppliers in East Asia, in Yusuf S,Altaf M A, and K Nabeshima (eds), Global Production Networking and Technological Change in East Asia, Washington, D.C.: THE WORLD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