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풀마인드 정신분석이론 적용
- 최초 등록일
- 2007.08.27
- 최종 저작일
- 2007.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sin****
240회 판매

소개글
영화내용과 수업시간에 배운 이론 등에 충실하며 저의 생각을 덧붙여 썼습니다
교수님께서 힘든 리포트였는데 이렇게 잘써올줄 몰랐다며 A+주시더군요^^
참고해서 좋은 리포트 쓰시고 대박나세요~
목차
Ⅰ.뷰티풀 마인드를 분석하며
Ⅱ.본론
1. 정신분석이론에 따른 존내쉬 심리,행동 분석
2. 주인공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분석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과제라는 것을 떠나서 오랜만에 좋은 영화를 본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영화에 한참 빠져들 무렵 그의 국가기밀에 관련된 업적이 그의 망상이며 그가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은 영화에 반전 아닌 반전을 만들어 주며 영화에 더 빠져들게 되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영화 속 주인공이 실존인물이라는데 놀라움을 금치 못했고 그래서 더 영화에 애착이 가게 되었다. 실존인물인 주인공 존 내쉬는 1949년 27쪽 짜리 논문 하나로 150년 동안 지속되어 온 경제학 이론을 뒤집고, 신경제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게 된 천재수학자이다. 여기서 영화를 재미있게 하고, 그가 주목 받는 이유는 천재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천재이기에 겪어야 했던 정신분열증을 이겨내고 94년 노벨상을 수상, 영화보다 극적인 삶을 살았다는 점에 있는 것 같다.
나는 여기서 영화‘뷰티풀 마인드’의 실제 인물 존 내쉬의 심리와 행동들을 관찰해보며 존 내쉬의 삶을 통해서 어떻게 정신분열증이 발병했고, 그 증세를 어떻게 이겨내며 노벨상까지 타게 되었는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이론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정신분석이론에 따른 존내쉬 심리,행동 분석
영화의 흐름에 따라 존 내쉬를 정신분석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프린스턴 대학에서 야외 만찬회때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악수하는 장면이 나온다. 존 내쉬는 사람들과 시선 접촉을 피하고 단조로운 말투를 보이고 있고, 처음 보는 사람의 논문에 대해서 창의적이지 못하다고 직설적으로 말하는 장면, 그가 스스로 남들은 자신을 꺼린다고 생각하는 장면들은 그의 정서가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인관관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에서 친구와 바둑을 두기 전에 둘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오는데 친구가 바둑을 두자고 제안하자 존 내쉬는 엉뚱한 대답을 한다. 갑작스럽게 이상한 대답이 나와 자막이 잘못된 것이 아닐까하고 생각할 정도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