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1988.
·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김대행, “문학의 개념과 문학교육론”,『국어교육』59,60 합병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7.
· 김선용, 문학교육 방법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김윤식, 「문학교육론」, 삼지원, 1988.
· 김이상, 「문학교육론 소고」, 어문학 교육 13, 1991.
· 김인환, 「문학교육론」, 평민사, 1979.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동설, 1998.
· 서현정, 문학교육을 위한 발문전략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 「문학교육과 작가론」, 『국어교육』55.56 합병호, 1989.
· 유종호,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89.
· 이은아, 문학교육의 이론정립을 위한 시론,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 이성영, 「국어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이정민 외,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1980.
· 이형식, 「현대비평의 방법론」, 서울대출판부, 1983.
· 장인숙, 문학교육의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명지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4.
· 정재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서울: 역락, 2004.
· 조연현, 「문예비평론」, 서문당,1982,
· 차봉희,「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5.
· 천이두, 「문학과 사회: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 문예비평론, 서문당, 1982.
· 최순열, 문학교육론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7.
· 한상옥. “국어과 교육에 있어서 문학교육의 방법론적 연구”, 공주교대 논문집 13집 2호, 1977.
· 한주섭, 최경희, “한국문학교육의 회고와 전망”, 전주교대 논문집 27, 1991.
· Arnold Hauser.「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근세편」, 백낙청, 박성완 역, 창작과비평사, 1980,
· Gribble, J.「문학교육론」, 나병철 역, 문예출판사,1987
· Selden, Rayman.「현대문학이론」, 현대문학연구회 역, 문학과 지성사, 1987
· Todorov, Tzvetan. 「러시아 형식주의」, 김치수 역, 이대출판부, 1981
· wadsworth, B. J.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정태위 역, 배영사, 1975
· Wellek. Rene and Austin, Warren.「문학의 이론」, 김병철 역, 을유문화사,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