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춘향전` 다시보기
- 최초 등록일
- 2007.02.27
- 최종 저작일
- 2006.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고전 소설론 입문 시간에
춘향전에 대해
재해석해 보고 쓴 레포트입니다.
성적은 A+이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3. `춘향전`의 줄거리
4. `춘향전` 인물분석
5. 전환기 문학, `춘향전`
(1) 민중의식
(2) 신분의식과 애정문제
(3) 정치적 이상 : 한계와 진보적 계기
(4) 이념적 계기
6. 작품 속 또 다른 궁금증
7. 정리하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우리나라에서 태어나서 가장 많이 들어본 고전소설의 제목을 대라면 우리국민 중에 대다수가 이 ‘춘향전’을 꼽는다. 고전을 읽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어린아이들부터 읽히려고 노력하는 작품이며,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작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춘향전은 그러한 흐름을 떠나 단순히 작품만 놓고 보아도 작품의 쓰여진 시기가 믿기지 않을 만큼 완벽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만의 고전으로서가 아닌 전 세계의 유산이라 생각되는 이 춘향전을 보다 더 깊이 살펴봄으로써 문학적인 가치와 그 영향력을 알아보려고 한다. 단순히 문학작품을 읽는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우리 인간의 삶을 비춘 거울로써의 문학을 바라보고 역사의 산물로서 감상해 보도록 하겠다.
우리는 ‘춘향전’을 인물을 중심으로 재해석해 봄으로써,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을 재분석해보고, 봉건사회 해체기의 기로에서, ‘전환기 문학’으로서 ‘춘향전’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춘향전’의 역사적인 재해석은 ‘고전(古典)’으로서 살아있는 ‘춘향전’을 현재의 우리와 연결시키는 교량역할을 할 것이다.
2.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판소리계 소설은 근원이 되는 근원설화를 모태로 발전되어온 구전문학의 한 부류로 연구되고 있다. 판소리 열두 마당 중, 흥보가와 수궁가, 그리고 춘향가과 심청가은 그 근원설화부터 뿌리가 남아 소설로까지 전해져 정착되는 작품이다.
근원(구전)설화(열녀설화<지리산녀 설화>, <도미의 아내 설화>, 암행어사 설화<이시발의 실제담>, <박문수의 체험>, 신원설화<남원추녀 춘향설화>, 염정설화<성세창 설화>, 명경옥지환교환설화)로 시작된 춘향전은 판소리(춘향가)로 이어지고 고전소설(춘향전)로 정착되어 후대에는 신소설(옥중화(獄中花))로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은 기존에 우리 민중들 사이에서 떠돌아다니던 것이 소리꾼들의 등장으로 판소리로 각색되어 전해져 내려오다가 한글의 창제와 보급으로 인하여 글로써 남게 되므로 소설이라는 장르를 빌어 기록되어 내려오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박희병,「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
․황패강,「춘향전 연구」, 1978년.
․김태준 지음, 박희병 교주, 「교주 증보조선조설사」, 한길사, 1990년.
․신병주, 노대환 지음,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돌베개, 2002년.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년.
․성현경 역, 「옛 그림과 함께 읽는 이고본 춘향전」, 열림원, 2001년.
․설성경, 「춘향전의 비밀」, 서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