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문학]조선시대 일본어학습서의 한글음주표기에 의한 일본어 청탁음의 음성적연구

"[어문학]조선시대 일본어학습서의 한글음주표기에 의한 일본어 청탁음의 음성적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1.29 최종저작일 2007.01
18P 미리보기
[어문학]조선시대 일본어학습서의 한글음주표기에 의한 일본어 청탁음의 음성적연구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종래의 논과 문제점의 소재

    3. 한글 음주의 음성적 자질

    4. 청음에 표기되어 있는 음주의 음성적 특징

    5. 탁음에 표기되어 있는 음주의 음성적 특징

    6. 결론

    본문내용

    조선시대 일본어 학습서는 淸濁音에 대한 「ひらがな」字體체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平音表記, 硬音表記, 鼻音表記 등 다양한 音注表記가 나타난다.

    なにかしこちこいそちかたいくわんにいてみか申 아므가히이러오라네代官의가내말로
    나닝가시고찌고이소찡가다이관니이뗴밍가수
    おとついここもとゑくたて 그적긔 여긔 려와
    오도쭈이고고모도예군다뗴
    きのうにもまいるお 어제라도 오올거
    기노우니모마이루오
    ろしのくたひれにいまこそもんまてまいてこそ御され 路次의브매이제야門지왓
    로시노구다비례니이마고쏘 몬 만뎨마이뗴고쏘례
    <捷解新語 卷一1a>(고딕部分은 淸音의 硬音表記, 下線部分은 濁音으로 생각되는 音節)

    한국어에 있어서 淸濁은 비변별적이고, 대립적 분포를 하지 않는 音素이기 때문에 일본어의 淸濁音에 非規範的인 다양한 表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表記에 대하여 특정 音注의 기능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연구 성과가 있었지만 音聲的 관점에서의 考察은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한글 音注에 있어서 音素 연결에서 일어나는 音聲的 현상에 대해서는 전혀 설명되지 않고 있다.
    학습서의 音注表記 체계는 아래와 같다.

    참고자료

    · 姜吉云(1952)「初&#22768;&#20006;書攷」『&#22269;語&#22269;文&#23398;』13
    · 金敏洙(1953)「各自&#20006;書 音&#20385;論」『&#22269;語&#22269;文&#23398;』4
    · 金錫得(1974)「없어진 글자의 상고」『나라사랑』14, 외솔회
    · 金善琪(1933)「硬音의 本質」『한글』Ⅰ-9
    · _____(1972)「東&#22269;正韻의 ㅃ ㄸ ㄲ의 음가」『한글』150
    · 김영송(1981)『우리말 소리의 연구』과학사, pp235-277
    · &#21577;貞蘭(1988)『硬音&#31246; &#22269;語史的 &#30740;究』翰信文化社, pp110-133
    · 禹敏植(1989)「15世紀 &#22269;語&#31246; 初&#22768;&#20006;書 &#30740;究」中央大博士&#23398;位論文
    · 李南&#24499;(1968)「15世紀&#22269;語의 된소리 考」『李崇寧博士頌&#23551;記念論叢』
    · 이숭녕(1954)『&#22269;語&#23398;&#27010;&#35500;(上)』進文社, p148
    · 최현배(1929)『소리갈』정음사, pp72-82
    · 天昭寧&#8228;大坪一夫&#8228;水谷修(1987)『日本語音&#22768;&#23398;』くろしお出版, pp59-77
    · 荒木雅&#23455;(1975)「捷解新語の&#20006;書法について」『&#22269;語&#30740;究』38,&#22269;&#23398;院&#22269;語&#30740;究&#20250;
    · 上野善道(1977)「日本語のアクセント」『岩波講座 日本語5音&#22768;』
    · 梅田博之(1983)『韓&#22269;語&#31246; 音&#22768;&#23398;的 &#30740;究』&#34509;雪出版社, p178
    · 遠藤邦基(1977)「濁音減&#20385;意識」『&#22269;語&#22269;文』46-4,京都大&#23398;
    · 大倉進平(1928)「朝鮮語のtoin-siot」『岡倉先生記念論文集』
    · 大友信一(1956)「捷解新語に見られる濁音表記」『言語&#30740;究』30,日本言語&#23398;&#20250;
    · 河野六&#37070;(1952)「『伊路波』の諺文標記について」『&#22269;語&#22269;文』21-10、京都大&#23398;&#22269;文&#23398;&#20250;
    · 趙 堈&#29013;(2000)「鼻濁音の喪失過程について」『&#22269;語論稿』28, 岡山大&#23398;
    · 土井洋一&#8228;浜田敦&#8228;安田章(1959)「倭語類解考」『&#22269;語&#22269;文』28-9,京都大&#23398;&#22269;文&#23398;&#20250;
    · 浜田 敦(1970)『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30740;究』岩波書店, pp78-83
    · ────(1983)『&#32154;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30740;究』臨川書店, pp126-140
    · 安田 章(1990)『外&#22269;資料と中世&#22269;語』三省堂, pp36-41
    · Chomsky, N & Halle, M.(1968) ;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 Row, pp 315-29
    · Kim, Chin-Woo(1965)“On the Autonomy of Tensity Feature in Stop Classification : with Spesial Reterence to Korean Stops” Word 21-3, p 352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