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소설
- 최초 등록일
- 2007.01.12
- 최종 저작일
- 2007.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일본의 소설
목차
1. 일본 문학의 흐름
1) 상대문학
2) 중고문학
3) 중세문학
4) 근세문학
5) 근대문학
2. 일본 소설의 특징
3. 일본 소설이 한국에 미친 영향
4. 한국소설과의 차이점
5. 한국에 번역되어 출판된 대표적인 작품 & 작가
1) 무라카미 하루키
2) 에쿠니 가오리
3) 요시모토 바나나
4) 츠지 히토나리
5) 무라카미 류
6) 오쿠다 히데오
7) 가네시로 가즈키
8) 요시다 슈이치
본문내용
3. 일본 소설이 한국에 끼친 영향
우리나라에서 일본의 대중문화가 경계되는 가운데에서도 문학만은 이전부터 별 문제 없이 유입됐던 분야였다. 그러나 한 시대 전에 학생들 사이에 돌려가며 읽었던 『빙점』이나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서 유명해진『설국』, 심지어 임신한 부인들의 태교용이라는 묘한 수용형태를 보였던 『대망』을 제외하면, 80년대 말까지 일반 독자들의 일본문학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거의 전무하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 문단에서도 일본문학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우리의 눈은 오로지 서구문학을 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 김대중 정권의 일본 문화 개방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해서 일본의 소설은 우리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예전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몇몇 작품만이 우리나라에서 알려지고 읽혀졌지만 90년대 이후에는 보다 더 대중적이고 젊은 일본의 소설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우리에게 소개 되었다. 특히,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만화, 에니메이션, 영화 등으로 인해서 일본의 소설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늘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일본의 젊은 작가들의 젊은 감각의 소설들이 우리나라의 20~30대의 젊은 층에 많은 공감을 얻어내면서 일본의 소설이 특히 젊은 여성층에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일본 소설이 한국에서 인기를 얻게 되는 전환점은 1989년이다. 그 해 문학사상사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1987년 작 `노르웨이의 숲`을 `상실의 시대`로 이름을 바꿔 출간하면서 한국에서 일본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