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목원 사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6.12.21
- 최종 저작일
- 2006.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행정사례분석 강의에 대한 리포트 자료
대구 수목원을 주제로 하여 발표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수목원 조성배경
III. 수목원 조성내용
IV. 수목원 우수 사례
V. 수목원 성과
VI. 성공요인
VII.향후 추진 계획
VII. 문제점
참고 문헌
참고 자료
본문내용
I. 서론
급속한 산업화, 도시의 과밀화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양은 날로 증가추세 이나, 쓰레기 처리는 아직까지 상당부분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토가 좁고 많은 인구가 도시지역에 밀집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라도 이와 같은 불모지와 다름없는 쓰레기매립장의 정비 및 재활용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식물은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여러 물질과 자원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울창한 숲은 맑은 공기와 물, 정서순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무한한 혜택을 우리 인간에게 주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상당수 식물자원들이 멸종 혹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우리의 미래자원인 식물자원들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 보전하는 것은 우리 세대의 중요한 의무이자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산업화의 산물로 훼손된 자연을 친환경적인 생태공간으로 복원하여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고 쓰레기매립장 재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는 것은 쓰레기매립장과 관련된 부정적인 이미지와 거부감을 다소나마 완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쓰레기매립지에서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바뀐 대구 수목원의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II. 수목원 조성배경
대구수목원 부지는 대구광역시에서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매립량 410만 톤의 쓰레기매립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특별한 대안 없이 장기간 방치되어 인근 주민들은 악취, 주변환경불량등으로 불편을 겪었다.
대구시에서는 이러한 쓰레기매립장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차후 쓰레기매립장 확보 시 발생할 수 있는 민원 해결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전국 최초로 새로운 친환경적인 수목원을 조성하기로 하였다.
참고 자료
백기언, 노용호(2002) 대구수목원의 생태교육 이벤트
이정웅(2002) 대구수목원과 도시생태관광의 가능성-대구 경북포럼
장정걸(2005) 국제혁신박람회 혁신우수사례
2003. 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조성사업
제3회 생태조경, 녹화공모전
hppt://www.daegu.go.kr/Fore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