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만옥 외, “OECD 환경정책과 국내 대응방안 : 환경과 경제의 통합을 중심으로”, 삼성 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1997. 8.
· 국립환경연구원, 「21세기 환경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1997.4
· 경향신문 2001-06-12 11면 (경제) 45판 뉴스
· 김정인, 「환경서비스산업 분류 체계 개정 검토 및 분석,」 환경부 내부 보고서, 1999.
· 김정인 , 중국의 환경오염현황과 정책과제, 자원경제학회지, Vol. (6) 2: 1 27, 1999.
· 김정인, 남북한 경제협력에 따른 북한의 환경보존, 동북아 경제학회, 2001.
· 김정인,「해외 주요 철강업계의 환경투자 현황과 환경문제 대응」,철강보 1996. 4, 5월호
· 김정인 , 외국의 환경친화적 기업경영 사례와 시사점, 1997
· 김태용, 「21세기 국내 환경산업의 전망과 경쟁력 강화 방안」, 환경보전, 2001. 9/10
· 김형철, 「환경벤처산업의 여건과 전망,」2001. 10.8
· 동아일보 “환경이 21세기 무역장벽의 새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2001.5.12
· LG경제연구소, 환경과 기업 .1992.7
·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동북아 경제협력 전략 연구」1999. 12. 30.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편저, 「제9라운드의 물결」, 서울 : 비봉출판사, 1995.
· _________________________, 「EU 에코라벨 가이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1999.
· _________________________, 「KOTRA 일간 해외시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1996-2000년도 각 호.
· 박종식, 김태용, 「무한한 가능성, 환경산업」, 삼성경제연구소, 2001.
· 산업연구원, 「환경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1998. 10.
· 윤창인 외, 「선진국 주요 환경 조치가 한국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서 울 : KIEP, 2000.
· 이갑수, “마스트리히트 이후 EU의 무역정책”, 한국무역학회, 1994. 4.
· 이순실, “새로운 무역장벽 포장폐기물 규제”, LG경제연구원, 1996. 3.
· 이병욱,「환경경영론」, 거봉출판사, 1997
· 장기복, 이승규, 임채운, 정호선, 중소기업의 환경관리 유인정책 개선방안,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1998.12
·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유럽기업의 미래지향적 환경경영 추진전략」, 1997
· 한기주, 「우리나라의 환경산업의 현황과 전망,」 환경기술․산업정책의 방전 방향에 관한 토론회 발표 자료, 2001. 12.한국은행, 「2000년중 환경오염방지지출 추계 결과,」 2001. 11. 7
· 한기주, “환경규제와 국제경쟁력간의 상관관계 고찰”, 현대환경연구소, 2000. 4.
· 현대환경연구원, 「환경VIP리포트」제29호, 1999.5.31., p37.
· 현대환경연구원, 「환경설비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및 청정생산 육성방안」, 1999. 12.
· 환경관리공단, 「환경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199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