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어사]최세진과 훈몽자회

한달 조금 넘게 정성을 다해 졸업논문 급으로 준비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참고문헌 포함 14장입니다. 최세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봤습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7.09 최종저작일 2006.05
14P 미리보기
[국어사]최세진과 훈몽자회
  • 미리보기

    소개

    한달 조금 넘게 정성을 다해 졸업논문 급으로 준비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참고문헌 포함 14장입니다.
    최세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목차

    1. 서언(緖言)

    2. 최세진의 생애와 업적

    2.1 최세진에 대한 평
    2.2 최세진의 출생
    2.3 최세진의 신분
    2.4 최세진 연보
    2.5. 최세진의 업적
    2.6 최세진이 후대에 미친 영향

    3. 訓蒙字會

    3.1 訓蒙字會의 저작 동기
    3.2 訓蒙字會의 체재와 판본
    3.3. 訓蒙字會의 내용
    3.4 訓蒙字會의 가치

    4. 결언(結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3 최세진의 신분

    ○ 崔世珍은 미천한 가문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더욱이 漢語(곧 중국어)에 정통하였다. 이미 登第하여서는 모든 사문에 관한 吏文을 다 그가 맡아보았고, 추천받아 발탁되어 벼슬이 三品에 이르렀다. 저서인 『諺解孝經』, 『訓蒙字會』, 『吏文輯覽』이 세상에 널리 퍼졌다. (1572년 中宗實錄의 史評)

    2.4 최세진 연보

    다음에서는 그의 일생을 간단히 연보로 살피겠다.

    ° 1465년 (세조 11년) 전후 출생 추정

    ° 1486년 (성종 17년) 生員試에 入格하고 雜科에 합격

    ° 1486년 (성종 17년) ~ 1503년 (연산군 9년) 사역원 講肄習讀官으로 한어교육에 종사

    ° 1503년 (연산군 9년) 봉세자별시(封世子別試)에서 2등 2인으로 급제

    ° 1504년 (연산군 10년) 12월 익명서 투척의 의혹을 받았으나 승지 권균의 발명으로 무사함
    ° 1506년 (연산군 12년) 3월 어전 통역의 공로로 홍패를 환급 받음

    ° 1507년 (중종 2년) 연산군의 사위사(辭位使)와 중종의 승습사(承襲使)를 수행하여 중국에 감

    2.5. 최세진의 업적

    그의 학문 활동을 역관으로서의 한어와 한이문(漢吏文)의 연구 및 그 교육, 그리고 우리 한자음의 연구와 한글의 보급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먼저 한어 회화에 대한 연구는 그가 승문원(承文院)의 훈회 겸 습독관(習讀官)으로 있을 때에 사역원의 한어 회화 강독 교재인 『노걸대』(상․하)와 『박통사』(상․중․하)를 번역하고 이들의 주석서인 『老朴集覽』(1권)을 저술한 것이다. 이 한어 교재의 번역은 한자 하나 하나의 한어 발음을 훈민정음으로 전사하는 것이었으며 좌우에 발음을 붙였는데 하나는 운서음이었고 하나는 실제 발음으로 알려졌다

    3. 訓蒙字會

    『訓蒙字會』의 현존본으로는 초간본인 을해자 예산문고본(叡山文庫本, 日本 京都 比叡山 延曆寺 藏本, 略稱 ‘叡山本’)을 비롯하여, 동경대학본(東京大學本, 日本 東京大學 中央圖書館 藏本, 略稱 東中本), 존경각본(尊經閣本, 日本 東京 尊經閣 文庫 所藏, 略稱 尊經本), 규장각본(奎章閣本, 서울대학교 奎章閣圖書, 略稱 奎章本), 범문사본(汎文社本, 略稱 汎文本), 낙예본(洛汭本, 동국대 고려대 藏本), 미만본(瀰漫本) 등이 있다.

    3.2 訓蒙字會의 체재와 판본

    『訓蒙字會』는 上中下 3卷 1冊으로 되어 있으며 초간본은 조선 世祖元年(1455)에 강희안의 글을 字本으로 하였다.

    참고자료

    · 朴泰權(1974), 『崔世珍硏究』,부산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안병희(1997), 『金安國의 崔世珍 輓詞』,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95집)
    · (1999). 「崔世珍의 生涯와 學問」,『崔世珍의 生涯와 學問』, 韓國語文敎育硏究會 ․ (社) ․ 韓國語文會
    · 이기문(1985), 『訓蒙字會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5.
    · (1999).「訓蒙字會 小考」,『崔世珍의 生涯와 學問』, 韓國語文敎育硏究會 ․ (社) ․ 韓國語文會
    · 이상도(1992), 『훈몽자회 편찬동기와 특징』, 중국학 연구 7집
    · (1995), 『崔世珍의 漢語敎學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장주현(1988), 「훈몽자회의 어학적 연구 - 언문자모를 중심으로」, 청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재영(1999), 「國語表記史 속의 崔世珍」, 崔世珍의 生涯와 學問』, 韓國語文敎育硏究會 ․ (社) ․ 韓國語文會
    · 황규엽(1989), 『최세진 전기 소재의 재 검토』, 한국 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45집)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