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6.06.27
- 최종 저작일
- 2006.03
- 4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불교 유식사상의 핵심인 '유식삼십론송' 을 철저히 분석한 레포트.
게송 30개 모두를 원문과 더불어 해석하였으며 삼십론송에 대해 심도있게 고찰해본 글.
40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과 주석.
목차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
1. 지은이 ‘세친(世親)’ 에 관하여
2. 삼십론송 내용 (30송 분석)
본문내용
1. 지은이 ‘세친(世親)’ 에 관하여
천친(天親)이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 바수반두(Vasubandhu)를 바수반두(婆數槃豆) , 벌소반도(伐蘇畔度) 등으로 음역한다. 간다라국(國)의 정통 브라만 출신. 형인 무착(無著:Asaga)과....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와 경량부(經量部)의 사상을 공부하여, 하루에 한 게송(偈頌)씩 600게를 지었다는 명저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을.....의 연구 발표로, 대승 전반에 걸쳐 개척자적인 지위를 확보하였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형 무착의 유식학(唯識學)을 계승하여 이를 완성시킨 데 있다.
무착과 세친의 대승불교는 유가행파(瑜伽行派)로....
2. 유식삼십론송 내용
이 삼십송 중에서 처음 스물네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양상을 밝히고, 다음 한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성품을 밝히며, 뒷부분의 다섯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수행의 단계를 밝힌다.
스물네 송의 게송 중에서 처음의 ....의 양상을 자세하게 판별한다.
第 1 頌 :
由假說我法이니 有種種相轉이라
彼依識所變이니라 此能變이 唯三이니
(유식은) 아(我)와 법(法)을 가설하므로 말미암아 성립된 것이니 가지가지 현상계가 전변함을 설명한 것이다. 저(가지가지 현상계는) 식에 의해서....오직 셋(心ㆍ意ㆍ識)이 있을...
[해설]
이 유식(唯識)은 부처님께서 설해주신 법 가운데 아(我)와 법(法)을 가설(假說)해 주신 부분을 발취해서 성립된 것이다. 가지가지 아(我)와 법(法)의 양상(樣相)이....
이 첫송에서 일체만법(一切萬法)이 전변(轉變)한다고 한 것은 아(我)와 법(法)의 형상(形相)이요, 이를 전변(轉變)케 ...
第 6 頌 :
四煩惱로 常俱하니 謂我痴와 我見과
幷我慢과 我愛라 及餘觸等俱하며
제칠식은 4번뇌(四煩惱)를 항상 갖추고 있으니 말하자면....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