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

*건*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6.06.27
최종 저작일
2006.03
4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불교 유식사상의 핵심인 '유식삼십론송' 을 철저히 분석한 레포트.
게송 30개 모두를 원문과 더불어 해석하였으며 삼십론송에 대해 심도있게 고찰해본 글.
40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과 주석.

목차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

1. 지은이 ‘세친(世親)’ 에 관하여
2. 삼십론송 내용 (30송 분석)

본문내용

1. 지은이 ‘세친(世親)’ 에 관하여

천친(天親)이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 바수반두(Vasubandhu)를 바수반두(婆數槃豆) , 벌소반도(伐蘇畔度) 등으로 음역한다. 간다라국(國)의 정통 브라만 출신. 형인 무착(無著:Asaga)과....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와 경량부(經量部)의 사상을 공부하여, 하루에 한 게송(偈頌)씩 600게를 지었다는 명저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을.....의 연구 발표로, 대승 전반에 걸쳐 개척자적인 지위를 확보하였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형 무착의 유식학(唯識學)을 계승하여 이를 완성시킨 데 있다.
무착과 세친의 대승불교는 유가행파(瑜伽行派)로....

2. 유식삼십론송 내용
이 삼십송 중에서 처음 스물네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양상을 밝히고, 다음 한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성품을 밝히며, 뒷부분의 다섯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수행의 단계를 밝힌다.
스물네 송의 게송 중에서 처음의 ....의 양상을 자세하게 판별한다.

第 1 頌 :
由假說我法이니 有種種相轉이라
彼依識所變이니라 此能變이 唯三이니
   (유식은) 아(我)와 법(法)을 가설하므로 말미암아 성립된 것이니 가지가지 현상계가 전변함을 설명한 것이다. 저(가지가지 현상계는) 식에 의해서....오직 셋(心ㆍ意ㆍ識)이 있을...

[해설]
   이 유식(唯識)은 부처님께서 설해주신 법 가운데 아(我)와 법(法)을 가설(假說)해 주신 부분을 발취해서 성립된 것이다. 가지가지 아(我)와 법(法)의 양상(樣相)이....
   이 첫송에서 일체만법(一切萬法)이 전변(轉變)한다고 한 것은 아(我)와 법(法)의 형상(形相)이요, 이를 전변(轉變)케 ...

第 6 頌 :
四煩惱로 常俱하니 謂我痴와 我見과
幷我慢과 我愛라 及餘觸等俱하며
제칠식은 4번뇌(四煩惱)를 항상 갖추고 있으니 말하자면....

참고 자료

없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자료후기(1)

*건*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불교학 - 인문으로서 불교학 이야기- 8페이지
    있다고 하였다. 제8장. 한·중·일 국의 근대불교학 연구방법-‘해석 ... 불불교학 - 인문으로서 불교학 이야기- 목 차 Ⅰ. 서 Ⅱ ... 권상로 선생님은 문화사회적 방법에 입각하여 불교학 또는 국의 저변을
  • 한글파일 계명 제 2계명 연구 6페이지
    사에서는 범신이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21세기에 이르러서는 뉴에이지 운동으로 ... 님뿐 아니라 하나님 외에 무언가를 예배하려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다신 ... 말라 목차 서 1. 계명 제2계명의 원리 1.1. 하이델베르크 요리
  • 한글파일 고대사 불교철의 확립 8페이지
    전해진다. 나. 기신 원효의 사상에서 유식계통의 경들이 중요한 ... 유식의 편견에 빠진 교리를 비판하였다. 기신에서 원효는 “중관은 모든 ... 이문의 이으로 중관과 유식의 특징을 종합하면서 『기신』중심으로 체계화해나가는
  • 한글파일 [유식파의 기본문헌과 교리] 유식파의 교리와 기본문헌 3페이지
    있으나 유심사상이「화엄경」과 기신의 진여연기설에 기초를 두었다면, 유식 ... . 유식파가 흥하게 된 동기가 공사상의 중관파가 허무자 로 비판받는 ... 자로 오해되었던 것처럼 유식파는 주관적 관념자 로 비판받았다. 세친
  • 한글파일 [한국철특강] 한국불교사상 이해의 반성 4페이지
    ㅇ장은 그의 저술에서 성실의 空사상은 말할 것도 없고, 유식계통의 지종과 ... 자상하게 주석해 나가고 있다. 오래 대립해 오던 중관과 유식이 기신에 이르러 ... 」의 것이었다. 이란 龍樹(150~250)가 쓴 중(中論)과 이문
  • 한글파일 [종교]용수의 공 사상 14페이지
    (廻諍論, Vigrahavyavartani)》 3.《육송여리(六 ... 十頌如理論, Yuktisastika)》 4.《공칠(空七十論 ... )》 10.《대지도(大智度論)》 11.《주비바사(十住毘婆沙論)》 12
  • 한글파일 [법상종] 법상종의 성립과 쇠퇴 8페이지
    식(識)이 연기해 현상으로 나타난 것에 불과하다는 유식을 바탕으로 ... . 〈해심밀경〉과 미륵의 〈유가사지〉, 호법의 〈성유식 〉 등을 소의 ... , 권, 권, 오 권,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불교학]‘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