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성유식론(成唯識論) 에 관하여

*건*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6.06.26
최종 저작일
2006.04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성유식론(成唯識論) 에 관한 글.
불교철학 유식학의 요체인 성유식론에 관한 자세한 분석.
10권의 성유식론에 관한 심도있는 레포트.
목차와 본문 요약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본문
1. 세친의 생애
2. 십대논사
3. 성유식론의 번역 경위
4. 성유식론의 구성 체계 (성유식론의 세부 내용)

본문내용

본문

1. 세친의 생애
세친(世親, 400~480년경)은 범어로 바수반두(바수반두 Vasubandhu) 라고 하고, 구역(舊譯)에서는 천친(天親)으로 번역된다. 북인도 간다라 국의 수도인 뿌루사뿌라에서 바라문 출신.....아우가 있었는데, 성장 후 삼형제가 모두 출가하였다. 형 무착은 처음에 화지부에 출가하였다가 나중에 대승으로 전환.....같은 주제에 관하여 유부와 경량부의 견해가 다를 경우, 보다 합리적이고 뛰어난 이론 쪽을 택해서 이른바 ‘이장위종(理長爲宗)’의 방침으로.....

2. 십대논사
세친은 아뢰아식 연기설을 새로운 방법론으로 구성하여 식전변설(識轉變說)을 수립함으로써, 유식무경(唯識無境)의 이치와 8식의 존재 양상 및 인식성립의 역학적 ...그런데 세친 이후 유식학은 크게 無相유식론과 有相유식론의 두 사조로 나뉘었다. 이 두 학풍은 이후 유식학의 전개방향과 유식논사들의 학문적인 업적의 바탕이...
1)호법(護法)
호법(530~561)은 남인도 드라비다국의 깐찌뿌라 출신으로서, 매우 명석하여 대승교학뿐만 아니라 아비달마교학과 외전(外典)에도 능통하였다. 진리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뛰어난 언변으로써 사방을 주유하며 외도와...
5) 덕혜(德慧)
남인도 쁘라바따 출시이고 안혜의 스승이다. 삼장(三藏)에 통달하였으며, 일찍이 마가다국에서 수론외도(數論外道)를 항복시켜서 그 명성이 인도 천하에 드날렸다고 한다. 그의 저술로는 진제가 번역한 『수상론(隨相論)』 1권이...
6)난타(難陀)
안혜와 같은 시대의 논사이다. 『성유식론술기』에 의하면, 그는 심분설(心分說)로는 이분설(二分說)을, 종자설에 있어서는 신훈종자설(新熏種子說)을 주장했....
7)정월(淨月)
안혜와 같은 시대의 논사이다. 『성유식론술기』에 의하면, 심분설로는...

3. 성유식론의 번역 경위
1) 현장의 역경작업
현장(600~664)은 낙양 근처의 구씨현에서 출생하여, 13세에 낙양 정토사에 출가하였다. 그는 부처님의 성적지(聖蹟地)를 참배하고, 원전을 직접 연구함으로써 종래 한역본 중의 모호한 부분을 분명히 이해하며, 교학의 여러 문하에서 특히 유식교의를 중심적으로 연구하고자 인도에로의 구법유학을 결심하였다. 그는 629년에 구법....

4. 성유식론의 구성 체계 (성유식론의 세부 내용)
삼십송 중에서 처음의 24송은 유식의 양상을 밝히고, 다음의 1송은 유식의 성품을, 뒤부분의 5송은 유식교에서의 수행단계를 밝힌다. 호법과 안혜등 십대논사들의 세친의 『유식삼십송』을 주석할 때에, 삼십송의 앞부분에 귀경송(歸敬頌)을, 앞부분에 회향송(迴向頌)을 첨가하고, 각각 10권으로 구성하였다. 이 논서의 구성체계를 『성유식론술기』등에 의거해서 분과하면 다음과...

참고 자료

없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자료후기(2)

*건*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불교학 - 인문으로서 불교학 이야기- 8페이지
    불교학 - 인문으로서 불교학 이야기- 목 차 Ⅰ. 서 Ⅱ ... 있다고 하였다. 제8장. 한·중·일 삼국의 근대불교학 연구방법-‘해석 ... 권상로 선생님은 문화사회적 방법에 입각하여 불교학 또는 국의 저변을
  • 한글파일 [A+] 동국대불교학과 자이나사상 수업 리포트(자이나교와 불교 유식학파의 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4페이지
    실재유식학의 삼성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자이나교와 불교 유식학파의 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자이나의 실재 ... 언제나 원인과 결과에 의해 생성과 소멸을 거듭한다. 『유식삼십송』에는 “의타
  • 한글파일 [불교학]‘유식삼십송(唯識三十論頌)’ 분석 40페이지
    3수(受)가 모두 갖추어져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성유식론}에서는 ... 경위(別境位)에 5심소가 있음을 풀이한 것이다. {성유식론}에서는, "욕 ... 밝힌 것이다. {성유식론}에서 말한다. "두루두루 헤아리고 살피기 때문에
  • 한글파일 [A+] 동국대불교학과 아비달마 수업 리포트(각주 달기) 9페이지
    프라울러, 그는 4세기에 살았던 유식학파 조약의 저자인 대승자 세친을 ... 거목이었던 점과 관련하여 이 《유식삼십송》에 대한 연구는 이 시대 유식 ... 15세기에 쓰여진 입아비달마(‘아비달마에 대한 입문’)이다. 그러나
  • 한글파일 불교학과 혁신적 사회교육 9페이지
    불교학과 혁신적 사회교육 목 차 Ⅰ. 서 Ⅱ. 종교교육의 역사 1 ... . 종교교육의 중심화 3. 사회혁신의 교육 Ⅴ. 결 참고 문헌 Ⅰ. 서 ... 수준이며, 사회 혹은 불교학에서는 가르치나 교육에서는 종교에 대해 일절
  • 한글파일 중국철사상사 - 중국의 불교 3페이지
    . 다음으로 3기 불교철에서는 아상가가 중관파의 극단적 회의을 부정하며 인식 ... 적 측면에서 인간 인식의 내성을 인정했습니다. 다음으로 중국 불교의 ... . 당대의 유교는 천명을 따르고 있었습니다. 즉 제왕은 하늘의 천자이나
  • 한글파일 [유식학파의 기본문헌과 교리] 유식학파의 교리와 기본문헌 3페이지
    사지(瑜伽師地論)」,무착의「섭대승(攝大乘論)」,세친의「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 (唯識三十頌)」의 주석서인「성유식론(成唯識論)」을 지어 유식사상의 기반을 ... 있으나 유심사상이「화엄경」과 기신의 진여연기설에 기초를 두었다면, 유식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불교학]성유식론(成唯識論) 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