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분석세친 지음현장 번역1. 지은이 ‘세친(世親)’ 에 관하여천친(天親)이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 바수반두(Vasubandhu)를 바수반두(婆數槃豆 ... ), 무착으로 이어져 확립된 유식사상(唯識思想)을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과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에 결집하였다.대승불교에서의 그의 위치는, 《화엄(華嚴)》 《법화(法華 ... 를 이루었다. 《대승성업론(大乘成業論)》 《불성론(佛性論)》 《변중변론(辨中邊論)》 등의 저서도 있다.2. 삼십론송 내용이 삼십송 중에서 처음 스물네 송의 게송에서는 유식의 양상을 밝히
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원전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유식19송과 아들러 초기기억 이론을 심리치유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관관계를 전개 ... 본 논문은 알아차림에 주목하여 심리치유 관점에서 유식(唯識)30송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의 마음을 논리적이며 구조적으로 설명한 유식30송 ... 하였다. 의식과 무의식의 차원에서 유식19송은 무의식의 아뢰야식 종자가 드러날 때 알아차림을 하면 종자가 개량되어 다시 저장되는 과정에서 치유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초기기억 재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