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비잔티움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와 우리의 자세
- 최초 등록일
- 2006.06.21
- 최종 저작일
- 2006.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양 과목 레포트물입니다.
비잔티움이나 포스트모더니즘 영상 이미지 시대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목차
1.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한 이해
2.중세시대이콘전쟁
3.오늘날
4.우리의 자세
본문내용
1.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문화에서의 이미지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이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 고등학교 논술 시간에 한번쯤 들어봤을 만한 용어인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시대 문화에 대한 독특한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 자세하게 언급하면 끝이 없을 정도로 이 문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서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문학과 예술의 측면이다.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합리주의, 이성주의라는 모던에서 포스트-모던은 반대적인 흐름, 거부적인 흐름으로 계몽적, 이성적인 생각에 대해 반하는 이론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예술에서 사실주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예술을 표현하는데 에 있어서 여러 가지 독창적인 매개체를 이용하는 다양성, 개성을 중요시하였다. 문학면에서도 역시 단일한 구조를 갖춘 글, 소설이 아니라 새롭게 도입해보는 형식으로 작가와 독자가 상호의견으로 결말을 내는 형식이나 허구와 사실의 조화, 사실의 허구화 등 다양한 형태를 갖춘 글들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 움베르토 에코의 이해
사실 움베르토 에코의 책인 ‘포스트 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나 ‘장미의 이름’ 같은 책을 읽었다면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겠지만 이 책들은 공학도인 본인에게 벅찬 책이었다. 먼저 ‘포스트 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라는 책은 목차를 보고 부분적인 독해로 이해를 도울 수 밖에 없었으며, ‘장미의 이름’ 이나 ‘미네르바 성냥갑’ 과 같은 책은 군복무시에 접할 수 있었던 책인데 예쁘게 장식된 표지와는 달리 방대한 양과 난해한 내용으로 인하여 책에 대한 나의 열정을 포기하게 만든 책이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