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설]문학의 4분법
- 최초 등록일
- 2006.06.04
- 최종 저작일
- 2005.10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원

판매자red*******
7회 판매
소개글
문학의 갈래 체계에 대해서
목차
◉문학의 갈래
◉갈래 구분의 필요성
◈문학의 4분법에 대한 이해
◉현대 문학의 4분법
본문내용
▣문학의 4분법
◉문학의 갈래 : 문학 작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질서화한 문학 양식 체계(장르)
◉갈래 구분의 필요성 : 유사한 성격을 가진 작품들을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그 공통성위에서 개별 작품의 질서와 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
◈문학의 4분법에 대한 이해
- 독일의 미학자 헬만 코엔이 보베의 세 가지 장르설(서정시, 서사시, 극시)에 소설을 추가하여 4분법을 설명함
- 현대에 와서 기본적인 3분법의 어느 범주에도 넣기 어려운 잡다한 형태들을 위해서 목적문학, 또는 교훈문학이라는 또 하나의 장르류를 설정하는 4분법 체계가 나타남
◎ 시가 ․ 가사 ․ 소설 ․ 희곡의 4갈래설
- 조윤제가 국문학을 시가 ․ 가사 ․ 소설 ․ 희곡으로 나눔
- 부수적인 부문으로 평론과 잡문을 들은 점이 특이함
- 문제점 : [가사]라는 큰 갈래가 작은 갈래 자체가 되고, [소설]이란 큰 갈래 속에 [소설]이란 작은 갈래가 포함된다는 것은 갈래론의 근본 뜻에 어긋남
◎ 노래문학 ․ 이야기문학 ․ 놀이문학 ․ 기타문학의 4갈래설
- 김수업이 서구문학의 3갈래를 우리말로 써서 바꾸고, 나머지 일기, 수필, 문학 비평을 하나의 큰 갈래로 설정함
- 노래 ․ 이야기 ․ 놀이문학이 서정 ․ 서사 ․ 희곡과 꼭 일치하지 않음
- 문제점 : 기타문학이 나머지 세 갈래와 유기적이지 못함
기타가 아닌 넷째 갈래를 나타내는 이름이 필요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