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자료
· 천상병, 새, 조광, 1971
· “ , 주막에서, 민음사, 1979.
· “ ,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 오상사, 1984.
· “ , 저승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 일선, 1987.
· “ ,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강천, 1990.
· “ ,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미래사, 1991.
· “ , 요놈 요놈 요 이쁜놈!, 답게, 1991.
· “ ,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 , 천상병 전집, 평민사, 1996.
· 나. 논문, 기타
· 김규동, 시인의 빈손, 소담출판사, 1994
· 김성욱, 새의 오뇌-천상병의 시, 시문학, 1972. 8.
· 김우창, 순결과 객관의 미학, 창작과 비평, 1979. 3.
· 김훈, 풍경과 상처, 문학동네, 1994
· 박미경, 천상병 시 연구, 목포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6.
· 서수경, 술, 가난 그리고 시, 현대문학, 1987. 8
· 이건청, 전쟁과 시인, 현대시학, 1974.8
· 이양섭, 천상병 시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 논문, 1992.
· 조태일, 민중언어의 발견, 창작과 비평, 1972 봄.
· 다. 단행본 및 번역서
· 김용직 외, 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9
·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의 이해, 일지사, 1973
·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 박이도, 한국현대시와 기독교, 종로서적, 1987
· 박이문, 노장사상, 문학과 지성사, 1980
·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 민음사, 1976.
· 최동호, 현대시의 정신사, 열음사, 1985.
· 方東美, 정인재 역, 중국인의 인생철학, 탐구당,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