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키치문화와 문화상품만들기
- 최초 등록일
- 2006.05.01
- 최종 저작일
- 2006.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키치와 관련된 문화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키치문화의 특성을 제대로 아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문화상품이라는 것이 그 문화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품으로써 경제적 가치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문화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어떤 ‘키치카페’를 만들 것인가?
1. 세계가 한곳에 있는 카페
2. 기성세대를 위한 복고풍 카페
3. 한쪽은 다방, 다른 한쪽은 클럽
4. 한류열풍을 반영한 카페
Ⅲ. ‘키치문화센터’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키치와 관련된 문화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키치문화의 특성을 제대로 아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문화상품이라는 것이 그 문화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품으로써 경제적 가치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문화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키치문화는 키치의 요소를 갖춘 문화양식을 말한다. 키치에 대한 수많은 정의와 개념들이 존재하지만 크게 보아 대량소비문화, 대중문화. 탈중심, 해체. 다양성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키치문화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적 가치가 잘 표현될 수 있어야 하며 그 결과 경제적 가치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키치문화의 특성과 관련시켜 생각해 낸 것이 ‘키치카페’이다. 특정 상품은 아니지만 키치문화의 특성을 반영하고 경제적 가치도 창출할 수 있는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최근 다양한 이벤트 카페들이 상당 수 등장했지만 기존카페와는 차원이 다른 특히, 키치적 요소를 포함하는 카페를 만들고자 한다.
Ⅱ. 어떤 ‘키치카페’를 만들 것인가?
1. 세계가 한곳에 있는 카페
예전에 제주도에 갔을 때 ‘소인국 테마파크’라는 곳을 가 본적이 있다. 이곳은 세계 각국의 유명 건축물들을 엄선하여 그 크기를 실제 크기보다 매우 작게 만들어 한곳에 배치시킴으로써 마치 전 세계의 유명지 구경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하였다. 이처럼 카페문화도 나라마다 매우 다를 것이며 그 특징이 각양각색일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도 특정나라의 카페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키치카페’는 한정된 공간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나라별의 다양한 특색을 한곳에서 보여줄 수 있도록 공간 활용을 하자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