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키치문화
- 최초 등록일
- 2002.03.27
- 최종 저작일
- 2002.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키치란 무엇인가?
키치의 일상생활에의 침투
영화속의 키치 - 컬트 영화
그림속의 키치
음식속의 키치
가방속의 키치
의상속의 키치
광고속의 키치
인형속의 키치
본문내용
키치란 무엇인가?
키치라는 말이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60년 무렵이다. 이것은 독일 남부에서 '긁어모으다, 아무렇게 주워모으다'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던 말이며, 보다 넓게는 '낡은 가구를 주워모아 새로운 가구를 만들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키치라는 말에서 파생된 verkitschen이라는 말은 '은밀히 불량품과 폐품을 속여 판다', '다른 것으로 속여 물건을 강매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키치라는 말 속에는 원래 '윤리적으로 부정함'. '진품이 아님'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 키치라는 말은 그 의미의 범위가 확장되어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즉, 키치는 일정한 양식에 구애받지 않는 양식이고 편안함을 충족시키는 기능이며, 더 나아가 진보의 '우수리에 불과한'것이다. 그러나 지금도 이 개념의 핵을 이루는 것은 그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던 당시의 가치평가 적인 의미와 뉘앙스이다. 키치란 조악한 물건을 가르키며, 백화점은 한 사회가 만들어낸 모든 장소가 매매되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키치란 조악한 물건이고, 백화점은 기차역과 마찬가지로 키치의 신성한 성전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