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이 지향해야 할 국정 운영의 맥
공공부문은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그 운영에 문제가 있다면 용기 있게 고쳐나가야 하는 것이다.
시장의 문제점이 많기는 하나, 그렇다고‘시장 역할론 부정, 공공부문 쟁취´만이 능사가 아닌 것이다. 비효율적인 관료조직을 개편하고 꼭 필요한 곳에 국가의 돈을 사용하며, 이자를 적게 낼 수 있도록 생산력 높은 국가조직 운영을 통하여 국가부채가 적고 건실한 국가조직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작은 정부를 지향하더라도 교육예산의 확충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행정예산은 축소하는 것이 오히려 국가효율 향상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교육은 국가를 지탱하는 기틀과도 같기 때문에 예산을 증액하고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덧붙이자면, 국가부채 부담 때문에 젊은이들의 신규채용을 줄이지 않아야 한다.
노동계층 중 비정규직보다도 약한 이들이 바로 젊은이들이다.
이들이 취업할 수 있는 권리는 가장 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들의 신규채용을 위한 국가예산 책정은 꼭 필요하다.
젊은이들을 위하여 나라가 힘써 주었으면 좋겠다. 그들은 의식이 퇴조한 대중이 아니라, 진실로 우리나라를 이끌 능력 있는 기둥이기 때문이다.
작은 정부와 큰 시장을 추구하는 것은 마치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간단히 규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령, 서구 여러 나라들은 작은 정부와 큰 시장을 통하여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강화시켰다. 이렇게 강화된 국가경쟁력의 확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후발국들에 대하여 규제철폐를 요구한다. 그런 차원에서 이론적 근거로 작은 정부론을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만들어진 한국정부는 작고 약한 정부이지, 작고 강한 정부가 아니다.
즉, 필자가 주장하는 것은 작고 강한 정부이다. 작고 강한 정부는 크고 강한 시장을 만들 수 있고, 정부와 시장이 합심하여 서구의 신자유주의론과 그들의 이익확대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스크린 쿼터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그들의 요구대로 따른다면, 우리나라는 작고 약한 정부가 된다. 하지만, 정부의 문화정책부서에 사용될 예산을 구하기 위하여 영화산업에 고율의 세금을 부과하기 보다, 작은 정부조직체를 운영하더라도 자유로운 영화발전을 도모하면서 정부가 스크린 쿼터제를 지켜낼 수만 있다면 한국영화산업은 더욱 발전하여 할리웃 영화를 이길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간단한 비유이지만, 최근 각종 개방협상과 관련하여서도 비슷한 논리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서양 신자유주의의 요구대로 우리의 조직체를 작고 약한 정부, 크고 약한 시장으로 만들 것이 아니라, 우리의 필요에 따라서 작고 강한 정부, 크고 강한 시장을 만드는 것이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국정철학의 기조이자 방향이다.
· 姜起春, IMF체제하의 한국경제, 제주대 경제학과 학술논문, 1998
· 강내희, 신자유주의와 문화 : 노동사회에서 문화사회로, 문화과학사, 2000
· 강내희,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한국 문화, 신자유주의 세계화 반대주간 토론회 발제문, 2001
· 강내희, 신자유주의와 문화, 문화과학사, 2000
· 권영성, 헌법학 원론, 법문사, 1998
· 김균 , 하이에크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 김민경, 한국복지의 재조명, 현대윤리, 2005
· 김성구, 자본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공세, 자본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문화과학사, 1998
· 김세균, 신자유주의 정치이론의 연구경향과 문제점, 이론, 15호, 1996
· 김석진, 박민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비판을 위하여, 공감, 1997
· 김성구 ,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 문화과학사, 1998
· 김성구, 심용보, 신자유주의와 공공부문 구조조정, 문화과학사, 2002
· 김영호, 자유주의 운동의 이론과 정책, 시대정신, 통권 29호, 2005
· 김주현, 한국은 복지사회인가, 한국사회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나남출판, 2004
· 김호연, 이영석,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 배영수 편, 서양사강의, 한울, 1992,
· 노암 촘스키 지음, 강주현 옮김,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모색, 2000
· Sadwings,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한겨레, 2001.5.15.
· 손호철,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정치, 푸른숲, 1999
· 이상우 지음,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사회전공, 2001
· 이상원, 생물학적 결정론, 진화, 이데올로기, 인간은 유전자로 결정되는가, 명경, 1995
· 이성형, 신자유주의의 빛과 그림자,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와 경제, 한길사, 1999
· 장세진, 밀튼프리드먼과 시카고학파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 정무권,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 천보선, 김학한,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한울
· 킴무디, 사회진보를 위한 민주연대 옮김, 신자유주의와 세계의 노동자, 문화과학사, 1999
· 프랑스와 셰네 지음, 김석진 옮김, 세기말 자본주의의 전망을 둘러싼 토론에 부쳐, 공감, 1997
· 피에르 독케스․베르나르 로지에(김경근 옮김), 자본주의 발전의 재검토: 모호한 역사, 한울, 1995
· 하춘광, 신자유주의 이론과 지역복지정책, 동국대학교 대학원 동원논집,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