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에 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20.08.04
- 최종 저작일
- 2020.08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명 : 중국의 정치문화
주제 : 현대 사회에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에 대한 연구
목차
Ⅰ. 서론
1. 중국의 사회주의 사상과 시진핑의 이념
2. 시진핑 정책의 연속성
3. 중미 무역분쟁의 시발점
Ⅱ. 본론- 미중 무역분쟁
1. 관세 전쟁
2. 화웨이 보이콧 및 기술 패권
3. 환율 전쟁
Ⅲ. 결론
1. 미중 패권다툼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
2.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3. 중국의 인식과 대응
본문내용
1. 중국의 사회주의 사상과 시진핑의 이념
1) 중국의 사회주의 사상
중국의 공산당이 지닌 공식 이념으로 중국식 사회주의는 본래 농민이 주가 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이룩하고자 하는 마우쩌둥 사상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덩샤오핑 이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의해 완전한 사회주의가 아닌 사회주의적 사회 구성체 조기 발달의 단계로써 당의 지시에 따라 사회주의의 기본적인 요건을 온전히 갖고 발전한 이후 공산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는 덩샤오핑이 말한 후자로써 자유주의 학자는 국가 자본주의의 한 형태로 인정하고 있다. 덩샤오핑은 1982년 12차 당대회 업무보고에 있어 먼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 노선을 천명해 전면적으로 개혁하고 개방했다.
2) 시진핑의 이념
시진핑의 아시아 신안보관과 일대일로 구상이다. 전자는 공동안보와 종합안보, 협력안보와 지속가능한 안보를 골자로 핵심은 아시아 안보가 아시아인의 소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고 일대일로는 과거의 강대국 팽창을 위한 지정학 이론에서 떠올린 것으로 특히 일로의 개념은 지금껏 해양전략을 추구한 미국의 주변부 접근을 방해하고 유라시아로의 진출을 차단하려는 중국의 의도를 시사한다. 요약하자면 중국의 동아시아 정책이 아태지역에 대한 미국의 아시아중시정책에 대항해 미국 배제를 위한 아시아주의 및 해양차단 정책이다. 이는 미국과 미일동맹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대전략 차원에서의 조치로 이해할 수 있다. 중국의 현 지도자인 시진핑 주석은 이러한 중국식 사회주의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당정 규율과 사회주의 건설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고 힘겨운 이론적인 탐색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커다란 혁신적 성과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래서 스스로 새로운 시대의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을 형성했다고 말하고 있다.
참고 자료
LG경제연구원 ‘트럼프노믹스 시대의 무역·투자 질서’ 2017.2 보고서
연합뉴스 2018-03-11 [불안한 수출] 산적한 악재들…트럼프發 관세폭탄·원화강세
박창희, 국방대 군사전략학과 교수 ‘트럼프 행정부의 동아시아 정책과 미중관계 전망*’
마이클 J.그린 저, 신의 은총을 넘어서-1783년 이후 미국의 아시아 태평양 전략, 아산정책연구원 출판 2018
이용인, 테일러 워시번 저,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전략: 미국의 전문가 15인에게 묻는다 창비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