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A. 문제제기
사람들은 질병에 대해 무엇으로 이해를 하고 있는가? 또한 우리에게 질병이 오는 원인들이 도대체 무엇인가?
대부분 질병을 육신적으로 손상을 입거나 해를 입은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특별한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사람 그리고 사회적인 환경으로의 손상에 대한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물론 맞는 말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사실은 인간은 영적인 존재며 창조주이신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하나님과 함께 있어야만 행복하며, 질병의 문제에서 해방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은 사탄에게 속아 하나님을 대적하게 되었고(창세기 3:1-6), 결국 하나님과 관계가 단절되고 말았다. 그래서 인간의 힘으로 하나님을 만날 수 없게 되었으며, 그 결과 죽음과 재난과 그에 대한 고통이 정신적으로, 육신적으로, 사회적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이러한 것들을 통틀어 질병이라고 볼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간을 사랑하셔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 만나는 유일한 길을 열어 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만나는 길 되시고 모든 질병의 원인인 죄와 사단의 문제를 해결하셨다. 이 사실을 믿고 영접하는 자에게 하나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다. 또한 이 사실을 믿는 사람과 이 사실을 믿는 사람들의 모임이 교회이다.
그런데 문제는 복음을 바로 이해하고 선포해야 될 교회에서 질병관에 대한 이해를 오해함으로 인해 복음에 대한 이해를 혼란스럽게 하며, 성령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를 부인하도록 만들어 구체적인 복음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막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성경을 기준으로 질병과 치유에 대한 이해를 봐야 할 이유가 있으며, 성경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치유사역을 보며 질병과 치유에 대한 바른 이해의 필요성이 있음을 보게 된다.
B. 연구 방향 및 범위
이 논문을 통해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 질병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경적 치유의 필요성을 다루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질병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경적 치유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Ⅱ장에서는 질병에 대한 이해를 위해 질병의 어원과 개념들을 다루었고 Ⅲ장에서는 질병에 대해 바른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교회들로부터 나타나고 있는 질병에 대한 복음과 어긋난 견해들을 연구해 보았고 Ⅳ장에서는 성경을 통한 질병의 치유의 필요성과 성경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치유사역을 접근해 보았으며 이것을 통하여 우리의 영적인 생활, 마음과 정신과 육체적인 생활, 그리고 더 나아가 환경에 대한 치유의 적용들을 살펴보았다.
· <국내서적>
· 박형렬, 『통전적 치유 목회학』, (도서출판 치유, 1994)
· 박행렬, 『기독인을 위한 전인치유사역』, 도서출판 나임, 1994
· 오성춘, 『질병, 신앙, 하나님의 치유』, 기도, 1985,
· 심관섭, 『예수의 이름, 그 이름의 권세와 능력을 사용하라』서울, 솔로몬, 2000
· 이명수, 이재옥, “예수의 치유사역의 의미와 치유선교전략” 의료와 선교, 1991
· 김세윤, 구원이란 무엇인가, 두란노 2001
· <해외서적>
· Sir Robert Anderson, 『하나님의 침묵』(The Silence of God)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편), "무속신앙의 윤리문제", 『한국 교회와 신학의 과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 손경환, 『심리적 치료의 허구성과 성경적 상담』, Grace Publisher, 1998
· 김세윤, “The concept of health, disease and Healing" The proceedings of the program of Healing ministry, Acts KCMEA, 1980
· Steppen Hill, Hilling is Your, New Leaf Press, 1980
· <번역서>
· Gerhard Von Rad, 『구약성서신학』, 허역 역, 분도출판사, 1976
· 탐마샬, 『내면으로부터의 치유』,이상신 역, 예수전도단, 1996
· 찰스 R 솔로몬, 『영적치유의 핵심』 김우생 역 , 도서출판 나침반, 1991
· M. T. 켈시. 치유와 기독교, 배상길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 다니엘 파운틴, 『전인치유의 하나님』, 임창용역, 죠이선교회
· 투르나이젠, 『목회학 원론』, 박근원역, 성서교재간행사, 1985
· <논문>
· 이충일, 『성경적 치유 사역』, 총회신학연구원
· 이길근, 『목회에 있어서 치유에 관한 연구』
· 서천욱, 성경적 치유사역에 대한 연구, 총회신학교 2003
· 이길근, 『치유하는 목회』, 퓰러신학대학원, 1994
· 이선희, 인격장애와 성경적인 치유(전도자의 관점에서), 총회신학교, 2001
· 김기수. 『예수님의 치유목회』.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2001
· 윤영화, 『정신질환자들의 전인 치유에 대한 접근』, 총회신학교, 2002
· 목창균, 『김기동 계열의 귀신론과 질병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1987
· 김규정, 샤마니즘과 사단의 역사(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총회신학교 2003
· 박현덕, 『성경적인 치유의 접근』총회신학교, 2004
· <기타>
· 한국성서 연구원,『성서원어 헬한완벽사전』, 브니엘 출판사
· 『신학사전』,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