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역사]우리나라 갑옷의 역사

"[역사]우리나라 갑옷의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2.15 최종저작일 2005.12
21P 미리보기
[역사]우리나라 갑옷의 역사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우리나라 갑주의 개념·변천·구성
    ①한국고대 갑옷과 투구의 변천
    ②갑옷(板甲)
    ③투구(胄)류
    ④갑주양식에 따른 보조갑주

    3. 우리나라의 갑주
    (1)골갑주[骨甲주] ― 골찰갑(骨札甲)
    (2)가야판갑[伽倻版甲] ― 단갑(短甲)
    (3)쇄갑[鎖甲]류
    ①쇠사슬갑
    ②경번갑[鏡幡甲] ― 환갑(環甲)
    ③쇄자갑[鎖子甲]
    (4)내갑의[內甲衣]
    (5)금칠도철갑[金漆塗鐵甲]
    (6)찰갑주의 구성 - 기마철갑[騎馬鐵甲]
    (7)두정갑[豆釘甲]류
    (8)면흉갑[棉胸甲]
    (9)면피갑[棉皮甲] ― 견피갑(絹皮甲)
    (10)모피 갑주[毛皮甲胄]
    (11)용린갑[龍鱗甲] ― 두석린갑(豆錫鱗甲)
    (12)황룡린갑[黃龍鱗甲] ― 도금동엽갑(塗金銅葉甲)
    (13)가죽갑류 - 저피갑[저皮甲]
    (14)현갑[玄甲] ― 유엽갑(柳葉甲)
    (15)종이갑[紙甲] ― 사사을갑(沙士乙甲) = 철흉갑[鐵胸甲]
    (16)철편갑[鐵片甲] ― 철갑

    4. 문화재로 등록된 갑주들
    ①정지장군환삼(鄭地將軍環衫)
    ②은제경갑<98호남분>(銀製脛甲<九十八號南墳>)
    ③갑옷(갑옷)
    ④투구
    ⑤갑옷(갑옷)
    ⑥동래영갑주(東萊營甲胄)

    5. 맺음말

    본문내용

    갑주에 대한 자료수집에 착수할 때만 하더라도, 이렇게나 많은 갑주들이 우리역사 속에 존재했으리라곤 상상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생각보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갑주의 수량이 적은 것 같아 아쉬웠다. 고위 장군에서부터 하급 병사들이 썼던 갑주에 이르기까지 모든 갑주들을 다뤄보려고 노력했는데, 혹시나 누락된 것이 있지 않을까 걱정스런 마음이 앞선다.
    문화재청에 등록되어 있는 갑주들을 검색해 보면서 유물들의 헤진 모습을 볼 때면, 그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애잔한 감정이 들었다. 세월의 흐름 때문에 부식되고 허름해졌겠지만, 그 초라해진 모습 속에서 내 나라 내 가족을 지키려 목숨 바쳤던 조상들의 안간힘이 느껴지는 것만 같았다.
    물론 기마철갑이나 금칠도철갑을 접할 때의 감흥은 다른 것이긴 했다. 당시의 고구려나 백제의 갑주라는 것은 당대 중국과 대등하거나 그 이상인 것으로써 그들의 강력한 군사력과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가야의 갑주의 수준이라는 것 역시 교과서적인 단순히 ‘변한 지역의 풍부한 철 생산을 기반으로 성장한 가야’ 그 이상의 것이었으며, 그들의 쇠퇴와 일본 갑주의 대변화는 비전문가인 내가 보기에도 분명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어 보였다. 지나치게 논의의 폭이 확대될까봐 그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갑주를 중심으로 규명해낼 수 있는 고대 국가들의 상관관계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자료

    · 1)http://www.museum.go.kr/kor/index.jsp
    · 국립중앙박물관
    · 2)http://bchmuseum.busan.kr/index.jsp
    · 부산복천박물관
    · 3)http://gimhae.museum.go.kr/
    · 국립김해박물관
    · 4)http://www.cha.go.kr/unisearch/korea/Uniresult1.jsp
    · 문화재지식정보센터
    · 5)http://nricp.go.kr/korean/dic/dicview.asp?id=330&GotoPage=1&state=search&b_name=&b_memo=&txtSearchString=갑옷&From=
    · 국립문화재연구소-갑옷과 투구
    · 6)http://home.megapass.co.kr/%7Eksy913/koreanfantasy_note2_new.htm#방어구
    · 한국환상사전 ③무기와 방어구편
    · 7)한국복식문화사전(1998) / 김영숙
    · 8)http://gayasa.net/gaya/History/documents/Ismnpds_cs.php?Pgubun=view&Pspnum=7
    · 송계현(부산복천박물관), 2001,『4~5세기 동아시아의 갑주』가야 역사 문화 학술 세미나 자료
    · 9)http://www.kbs.co.kr/end_program/1tv/sisa/history/vod/vod,1,list,20.html
    · 역사스페셜-가야 흥망의 블랙박스, 철갑옷
    · 10)http://jsd.snu.ac.kr/jsd/forum/hist/noname69.htm
    · 東夷傳 高麗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