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이 강진 유배시절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글 26편에 대한
분석입니다.
꼼꼼하게 분석하였고, 그 기본 내용은 `효`와 `제`(인류보편공통 사상)
에 대한 분석입니다.
정말 꼼꼼하게, 완벽에 가깝습니다.
목차
다산의 서신 (차례)
- ‘유배지에서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Ⅰ. 서간문
1. 서 간
2. 여성의 서간(내간문)
3. 언 간
Ⅱ. 정약용의 삶과 문학
1. 다산의 생애
2. 문 학
3. <여유당전서>
Ⅲ. 작품 분석
1. 아버지로서의 다산
2. 교육을 통한 가르침
(1) 독 서
(2) 시(詩)
3. 효(孝)와 제(弟)
4. 실학사상의 반영
Ⅳ. 의의 및 시사점
1. 가정교육
2. 민중적 기초정신의 다산
3. 시사점
4. 결 론
Ⅴ. 출처 밝히기
본문내용
Ⅰ. 서간문
1. 서간
서간의 구성요소는 발신인, 수신인, 양자 간에 작용하는 용건 등 3가지이다. 따라서 서간문이 보통의 문장에 비해서,
① 구두담화의 대용이 되는 문장이기에, 직접 대면해서 담화하는 대신 글로 쓴다는 것이 서간의 첫 출발점이다.
② 서간은 독자가 특정되어 있어서 반드시 수신자가 있다. 혹은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 혹은 단체 상호간에 수신되는 것이니, 여하튼 독자는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일개인에 보내는 것이 가장 서간문다운 특질을 갖춘 것이다.
③ 이미 독자가 특정된 이상 그에 대한 위치관계에 의해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하니, 단지 뜻만 통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과 같은 특질에 의해서, 자연히 서간문이라는 독특한 형식을 갖춘 문장이 성립한 것이다. 위에서 본 바는, 일반상식에서 말하는 서간 또는 서간문의 개념을 설명한 것이지만, 발생적으로 광의적으로 따져 본다면, <문서>와 <문학>의 뜻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의 ‘letter’가 갖는 의미에 문자, 활자, 문서, 교양, 서칙, 문학, 학문이란 뜻이 있고, 동양에서 말하는 簡(간), 札(찰), 翰(한), 牘(독), 글월이란 용어의 성립원을 볼 때, 서간은 문서와 기록의 동의어 내지는 원형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김일근,「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1972, p2.
.
그 외, 서간의 다양한 정의
程明道(정명도)가, 「서찰은 선비의 할 일 중에서 最近(최근)한 것.」
Francis Bacon이,「사람의 언어중 보다 더 우아한 것을 구한다면 독자가 쓴 서한보다 나은 것이 없다.」
均如大師傳(균여대사전)의,「我邦才子名公 解吟唐○ 彼土之鴻儒碩德 莫解鄕謠 矧復唐文 如帝綱交羅 我邦易讀 鄕札以梵書連布 彼土難諳.」
에서 쓰인 ‘書札’, ‘letter’, ‘札’의 어의를 비추어 볼 때, 서간은 단순한 편지글이라는 뜻 이외에 문서, 기록, 문학 내지는 의례의 뜻을 포함하는 개념이 설정되는 것이며, 특히 고대에 올라갈수록 광의의 경향이 농후하다.
2. 여성의 서간(내간문)
(1) 여성서간의 역사적 전개
여성이 편지를 썼다는 최초의 기록은 『三國遺事』武王 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내가 신력으로 보낼 터이니 금을 가져오시오.’하고 법사가 말했다.
참고자료
· 1. 정약용 지음, 박석무 편역,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개역증보판), 창작과비평사, 1991
· 2. 오가와하루히사 지음, 왕용성 옮김, 실사구시의 눈으로 시대를 밝힌다, 강, 1999
· 3. 허문섭, 한국고전문학전집-정약용, 학문사, 1995
· 4. 고등학교 국어(상), 5. 능동적인 의사소통 (1)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교육인적자원부, 2002
· 5. 고등학교 국어(상) 교사용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2002
· 6.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www.tasan.or.kr)
· 7.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 2호, 다산공부론의 유학사적 위치 - 금장태(한국유학), 2001.5
· 8.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 3호, 정다산 예학과 성인예학의 비교 - 펑민(중국 고대 경학연구), 장동우 역자, 2002.5
· 9.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 3호, 주자예학과 다산예학, 최진덕(한국정신문화연구원
· 한국철학), 2002.5
· 10. 정민, 미쳐야 미친다(조선 지식인의 내면 읽기), 푸른역사, 2004
· 11. 김민옥(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초등도덕교육전공), 정약용의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 -두 아들에게 보낸 사건문을 중심으로, 2005.2
· 12. 최지녀, 조선시대 女性書簡과 書簡體文學, 서울대학교대학원, 2003
· 1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제2판, 1989
· 1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88
· 15.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삼인, 1987
· 16. 싸이월드 정약용 미니홈피 (http://www.cyworld.com/greatyakyong)
· 17. 김향금, 언간의 문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 18. 황문관, 조선 시대 언간과 국어생활, 국립국어 연구원, 2002
· 19.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 6호, 다산의 사언시에 대하여 - 송재소, 2005.5
· 20. 석성숙,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 21. 김상홍, 다산문학의 재조명,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3.
· 22.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98.
· 23. 조평환, 허원기, 전경원 공저, 한국고전문학 산책,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 24.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1972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