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어국문]16세기 정치현실과 시가문학

A맞은 리포트 입니다.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28 최종저작일 2005.03
28P 미리보기
[국어국문]16세기 정치현실과 시가문학
  • 미리보기

    소개

    A맞은 리포트 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본문
    1. 16세기 정치현실과 국문시가의 성격
    2. 16세기 사림의 국문시가에 대한 인식 (국문사용의 이유)
    3. 강호시가
    (1) 강호시가의 양상과 그 변모
    (2) 농암 이현보 (李賢輔, 1467~1555)
    (3) 퇴계 이황 (李滉 , 1501~1570)
    (4) 송암 권호문 (松巖 權好文, 1532~1587)
    (5) 면앙정 송순 (俛仰亭 宋純, 1493~1582)
    (5) 율곡 이이 (栗谷 李珥, 1536~1584)
    (7) 송강 정철 (松江 鄭撤, 1536~1593)
    (8) 상촌 신흠 (象村 申欽 , 1566~1628)
    (9) 고산 윤선도 (孤山 尹善道 , 1587~1671)
    4. 훈민시조의 창작 배경과 성격
    III.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5) 면앙정 송순 (俛仰亭 宋純, 1493~1582)

    1) 생애
    자(字)는 수초(守初), 호(號)는 기촌(企村), 면앙정 성종 24년(1493) 담양군 봉산에서 출생하였다. 중종 14년(1519) 별시문과(別試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이후 명종2년(1547) 봉문사(奉聞使)로 북경 에 다녀왔으며 이후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를 거쳐 1550년 이조판서 (吏曹判書)에 제수되었다. 1569년(선조2) 대사헌(大司憲),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으며, 의정부 우참찬(議政府 右參贊) 겸 춘추관사(春秋館使)를 지내다 사임하였다(77세). 만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향리에 내려와 면앙정을 짓고 퇴계 이황(退溪 李滉)을 비롯하여 강호제현(江湖諸賢)과 학문을 논하며 후학을 양성하여 문인들이 신평 선생(新平先 生)이라 불렀다. 그의 정계생활은 그의 군자다운 인품과 고매하고 원만한 대인관계 때문에 순탄하였다. 면앙정 송순은 후에 명유(名儒)가 된 제봉 고경명(齊峰 高敬命),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升), 백호 임제(白 湖 林悌) 등이 그의 문하에 있었으며 특히 송강 정철(松江 鄭澈) 또한 그에게서 사사했다.

    2) 송순의 시가문학
    송순의 시가는 새로운 강호문학을 개척하였으며, 정철로 이어지는 한국 시가의 맥을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우리말로 된 송순의 시가는 정철이나 윤선도처럼 문집에는 전하지 않고, 다만 「연보」(年譜)나 「가장」(家狀)에 그 면모가 대략 전하고 있다. 곧 「치사가」(致仕歌) 3편, 「몽견주상가」(夢見主上歌) 1편, 「오륜가」(五倫歌) 5편, 「면앙정장가」(俛仰亭長歌) 1편, 「단가」(短歌) 7편, 「잡가」 2편, 「자상특사황국옥당가」(自上特賜黃菊玉堂歌) 1편, 「농가」(農歌) 1편이 그것이다. 이 중 「농가」 1편을 제외한 20편이 『면앙집』에 한역되어 있다.

    풍상(風霜)이 섞어친 날에 갓피온 황국화(黃菊花)를
    금분(金盆)에 가득 담아 옥당(玉堂)에 보내오니
    도리(桃李)야 꽃인 체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

    송순의 유명한 「자상특사황국옥당가」라는 시조이다. 왕의 명에 순간적으로 지어냈으면서도 풍상이 섞어치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암시하면서 황국화와 도리(桃李)를 은유적으로 비교하여 선비의 높은 뜻을 드러낸 솜씨가 뛰어나다.

    십년(十年)을 경영(經營)하야 초려(草廬) 한 간(間) 지어내니
    반 간은 청풍(淸風)이요 반 간은 명월(明月)이라
    강산(江山)을 드릴 듸 없으니 둘러두고 보리라

    참고자료

    · 우응순, 「16세기 정치현실과 시가문학」『민족문학사강좌(상)』, 창작과 비평사, 1995
    · 신영명, 『사대부시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 신연우, 『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 박이정, 1997
    · 조태흠,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과 향유방식」『고시조 연구』, 태학사, 1997
    · 정병현․이지영, 「고산구곡을 노래한 유학자, 이이」『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
    · 신연우, 『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 이회문화사, 2000
    · 최재남, 『사림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과원, 1997
    · 조윤제, 송암집, 조선시가사강, 박문출판사, 193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