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와 1910년대의 주요작품과, 신문, 잡지조사
- 최초 등록일
- 2020.11.18
- 최종 저작일
- 2013.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개화기의 신문과 주요작품
1. 신문
2. 주요작품
3. 비평
Ⅱ. 1910년대 잡지와 작품
1. 잡지
2. 작품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신문
1)한성순보
1883년(고종20년)에 창간된 한국 최초의 근대신문이다. 관보이며 10일에 1회씩 발간하였다.
고종은 그동안의 쇄국정책을 버리고 개국정책을 택하는 동시에 대원군이 붕당의 소굴이라 하여 폐쇄했던 서원을 복원시켰으며 일본의 유신정치를 본받아 내정개혁을 꾀하였다.
1876년 2월 22일에는 김기수 수신사를, 1880년 5월 28일에는 김홍집 수신사를, 1881년 1월에는 박정양, 어윤중 등 12신사 일본유람단을 일본에 보내어 일본의 물정을 자세히 살피고 돌아오게 했으며 구미열강과는 통상조약을 맺었다. 이때 김기수와 조준영이 일본의 신문을 보고 돌아와 복명과 보고를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위정자들의 신문에 대한 인식은 많이 달라졌다.
또 1882년 8월 8일에는 박영효를 정사로 김만식을 부사로 일본에 수신사를 보내었는데, 박영효는 귀국하여 한성부윤이 되어 신문 창간 준비에 들어간다. 그러나 수구파의 책동으로 박영효는 광주유수 겸 수어사로 좌천되며 신문창간은 중단이 되고 신문 창간을 위하여 일본에서 데려온 기자들은 일본으로 돌아간다. 남아있던 정상각오랑은 외아문협판 김윤식의 지우를 얻어 외아문고문이 되는 동시에 신임 한성판윤 감만식과 함께 신문창간에 착수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1883년 10월 31일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신문 〈한성순보〉가 통리아문박문국에서 창간되었다.
2)독립신문
〈독립신문〉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이여 한글신문이다. 특사령에 의해 12년간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이 유길준의 주선으로 정부로부터 4,400원의 자금을 지원받아 1896년 4월 7일에 4페이지 중 3페이지는 한글판으로 마지막 한 페이지는 영문판 ‘The Independent’로 편집 창간된 신문이다.
참고 자료
한원영(2002)『韓國新聞 한 世紀(開化期篇)』, 푸른사상사, 서울, 454p-455p, 459p, 648p.
김윤식·김우종 외(2005)『한국현대문학사』 , (주)현대문학, 서울, 25p-27p, 48p-51p, 69p-71p, 104p-108p.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4』, (주)지식산업사, 서울, 368p-369p, 415p-416p, 430p-431p, 444p-44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