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갯벌과 간척사업- 새만금 사업의 쟁점과 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05.07.15
- 최종 저작일
- 1997.01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목차를 살펴 보시고 레포트의 정확한 개요를 확인 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목차
서론
◆갯벌과 간척사업에 관하여◆
-.갯벌
1.정의
2.갯벌의 능력
3.갯벌의 기능과 경제적 가치
-간척사업
1.정의
2.간척사업의 목적
3.간척사업의 필요성
본론
◆새만금 간척 사업이란?◆
1.새만금 간척사업 개요
2.새만금 사업 내용
3.새만금 간척사업 현황
◆새만금 사업의 찬성의견◆
☞새만금 사업의 필요성
☞새만금 사업의 효과
☞새만금 사업에 대한 환경단체(반대입장) 주장의 허구
◆새만금 사업의 반대의견◆
☞시민사회환경종교단체에서 반대하는 33가지 이유
☞환경단체의 정부측 가치 논쟁에 대한 반박
☞민관합동 조사단에 대한 비판
-새만금사업을 반대하는 부안 사람들
◆새만금 사업에 대한 주요 쟁점 사항◆
결론
본문내용
서론
◆갯벌과 간척사업에 관하여...◆
1991년부터 2004년까지 1조 300억 원을 들여 세계에서 가장 긴 32.8㎞의 방조제를 쌓아10,300ha의 농업 용지와 94,00ha의 산업 용지 확보, 부산의 1.2배에 해당하는 대규모 항구 개설, 산업 용수 확보, 선유도와 고군산 군도 일대의 섬 연결 휴양지, 위락 단지 등의 관광단지 조성 등을 목적으로 서울 여의도의 140배에 해당하는 40,100ha의 국토를 확장하는 대규모 간척사업인 새만금 간척 사업은 개발을 추진하는 농림부와 개발을 반대하는 환경단체의 끊임없는 대립으로 인해 의견이 분분하다.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입장인 농림부는 새만금사업이 식량안보를 위한 쌀 생산을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농림부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식량 자급도는 28.5%밖에 안되기 때문에 새만금을 간척해서 쌀을 생산할 농지를 만들어야한다고 한다. 그런데 새만금에서 생산한다는 쌀은, 90년대 한 때만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00% 자급되는 거의 유일한 농작물이다. 그나마 쌀의 자급도가 떨어지는 것은 농림부의 걱정대로 쌀을 생산할 땅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낮은 쌀 소득으로 논을 밭으로 전환하고 휴경논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식량안보는 농림부의 말처럼 중요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