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조선, 중세사, 유학자, 성리학자, 사림]조선시대의 성리학자

^^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6.27 최종저작일 2004.06
20P 미리보기
[조선, 중세사, 유학자, 성리학자, 사림]조선시대의 성리학자
  • 미리보기

    소개

    ^^

    목차

    1. 정몽주 (鄭夢周 1337~1392 (충숙왕 복위 6~공양왕 4)
    2. 길재 (吉再 1353~1419 (고려 공민왕 2~조선 세종 1)
    3. 김숙자 (金叔滋 1389~1456 (고려 공양왕 1~조선 세조 2)
    4. 김종직 (金宗直 1431~1492(세종 13~성종 23)
    5. 김굉필 (金宏弼 1454~1504(단종 2~연산군 10)
    6. 정여창 (鄭汝昌 1450~1504 (세종 32~연산군 10)
    7. 김일손 (金馹孫 1464~1498(세조 10~연산군 4)
    8. 조광조 (趙光祖 1482~1519(성종 13~중종 14)
    9. 김식 (金湜 1482~1520(성종 13~중종 15)
    10. 이언적 (李彦迪 1491~1553(성종 22~명종 8)
    11. 김인후 (金麟厚 1510~1560(중종 5~명종 15)
    12. 이황 (李滉 1501~1570(연산군 7~선조 3)
    13. 정구 (鄭逑 1543~1620(중종 38~광해군 12)
    14. 조목 (趙穆 1524~1606(중종 19~선조 39)
    15. 김성일 (金誠一 1538~1593(중종 33~선조 26)
    16. 유성룡 (柳成龍 1542~1607(중종 37~선조 40)
    17. 기대승 (奇大升 1527~1572(중종 22~선조 5)
    18. 허목 (許穆 1595~1682(선조 28~숙종 8)
    19. 정경세 (鄭經世 1563~1633(명종 18~인조 11)
    20. 장현광 (張顯光 1554~1637(명종 9~인조 15)
    21. 김응조 (金應祖 1587~1667(선조 20~현종 8)
    22. 조임도 (趙任道 1585~1664(선조 18~현종 5)
    23. 정사진 (鄭四震 ?~1616(?~광해군 8)
    24. 이이 (李珥 1536~1584(중종 31~선조 17)
    25. 성혼 (成渾 1535~1598(중종 30~선조 31)
    26. 김장생 (金長生 1548~1631(명종 3~인조 9)
    27. 조헌 (趙憲 1544~1592(중종 39~선조 25)
    28. 김집 (金集 1574~1656(선조 7~효종 7)
    29. 송시열 (宋時烈 1607~1689(선조 40~숙종 15)
    30. 송준길 (宋浚吉 1606~1672(선조 39~현종 13)
    31. 정엽 (鄭曄 1563~1625(명종 18~인조 3)
    32. 신익성 (申翊聖 1588~1644(선조 21~인조 22)
    33. 이명한 (李明漢 1595~1645(선조 28~인조 23)
    34. 나만갑 (羅萬甲 1592~1642(선조 25~인조 20)
    35. 윤선거 (尹宣擧 1610~1669(광해군 2~현종 10)
    36. 윤증 (尹拯 1629~1714(인조 7~숙종 40)
    37. 권상하 (權尙夏 1641~1721(인조 19~경종 1)


    본문내용

    정몽주 (鄭夢周 1337~1392 (충숙왕 복위 6~공양왕 4)
    고려 말기 문신․학자.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본관은 영일(迎日).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의 검열(檢閱)․수찬(修撰)을 지냈다. 63년 낭장 겸 합문지후(郎將兼閤門祗侯)․위위시승(衛尉寺丞)을 거쳐 동북면도지휘사의 종사관으로 여진족 토벌에 참가하고 돌아와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전농시승(典農寺丞)을 지냈다. 67년 예조정랑으로 성균관박사를 겸임하였으며, 태상소경(太常少卿)과 성균관 사예(司藝)․직강(直講)․사성(司成)을 지내고, 72년 중국 명(明)나라에 서장관으로 다녀와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 등을 지냈다. 76년(우왕 2) 성균관대사성으로 배명친원(排明親元)의 외교방침을 반대하다가 언양(彦陽)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풀려나 사신으로 일본에 건너가 왜구의 단속을 요청하고 잡혀간 백성 수백명을 귀국시켰다. 이어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전공사판서․예의사판서․전법사판서․판도사판서를 지냈으며, 80년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고 돌아와, 이듬해 밀직부사 상의회의도감사 보문각제학 동지춘추관사 상호군(密直副使商議會議都監事寶文閣提學同知春秋館事上護軍)이 되었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