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이데올로기, 헤게모니 그리고 문화자본과 학교교육의 관계 규명
- 최초 등록일
- 2005.05.22
- 최종 저작일
- 2005.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그리고 문화자본과 학교교육의 관계 규명에 관해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경제재생산이론
-보울즈와 긴티스(Bowles & Gintis)
2. 문화적 헤게모니이론
1) 이데올로기와 학교교육
-알튀세르(Louis Althusser)
2) 헤게모니와 학교교육
-그람시(Antonio Gramsci)
3. 문화재생산이론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문화자본과 학교교육
맺음말
본문내용
머리말
이데올로기(Ideologie), 헤게모니(hegemony), 그리고 문화자본(文化資本 , cultural capital)과 학교교육의 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교육사회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알튀세르(Louis Althusser), 그람시(Antonio Gramsci),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떠한 시대를 막론하고 지배적 계급은, 그들이 현실에 대해 이해한 바를 어떠한 방법을 써서든 다른 모든 계급들에게 강요한다. 이에 대해 이 세 학자들은 사회제도는, 구조와 지배권력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이를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문화자본과 학교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회제도 및 구조가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또한 문화의 재생산과정을 통하여 지배계급의 권력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정당화되며, 특정사회가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그리고 문화자본과 학교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경제와 학교교육 사이의 구조적 상응관계를 상정하고 있는 보울즈와 긴티스(Bowles & Gintis)의 경제재생산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0
김기석,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과학사, 1987
한준상 등 저, 『신교육사회학』, 학지사, 1996
주진호,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교육에 대한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 1997
http://www.naver.com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