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국가
1. 한국의 대통령-행정부
제왕적 대통령제로 요약되어질 수 있는 한국의 대통령제는 관료제와 함께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핵심이다. 제왕적 대통령제는 국회, 사법, 정당, 선거, 시민문화 등 한국 정치 전반에 ‘위로부터의’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이분적 정치참여구조의 근본적원인이 되고, 정상적인 정치참여구조의 왜곡을 가져왔다.
2. 한국의 국회-입법부
행정국가적 의회주의정당국가적 의회주의
국회, 즉 의회는 국민주권의 원리를 가장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시민사회의 취약성과 분단국가로서의 특수성, 안보와 치안의 강화 때문에 행정통제기능은 물론이고, 입법기능조차 제대로 수행하기 힘들었다. 그 이유국회가 대통령 중심의 행정부에 종속되었기 때문이며, 국회 의원들 자체가 역량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987년 9차 헌법 개헌으로 의회의 법적 지위가 향상되고, 전반적인 정치 민주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국회는 여전히 정당정치에 의해 훼손되는 정치적 객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과거에는 대통령에 현재는 정당에 종속되어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고 있는 것인데, 국회가 정당에 종속된다는 의미는 국민과 지역의 대표인 국회 의원들이 특정 정당 지도부가 정한 당론과 정치적 의지를 관철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3. 한국의 법원-사법부
한국의 사법부는 형식적으로나마 국민의 주권행사가 어느 정도 달성된다고 보여지는 입법, 행정과는 달리 국민의 대표가 아닌 전문관료가 권한을 독점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게다가 3권 분립이 무색할 정도로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대통령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성격도 보여왔다. 헌법의 개정과정을 살펴보면 어떻게 사법부가 제왕적 대통령에 의해 휘둘려왔는지를 알 수 있다.
· 진덕규, <한국정치사 서설>, 지식산업사, 2000
·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1>, 나남, 1993
· 민준기 외 4인, <한국의 정치>, 나남출판, 1996
· 오현철, <시민불복종 - 저항과 자유의 길>, 책세상, 2001
· 유병용 외 8인, <한국현대정치사>. 집문당, 1997
· 이수인 외 2인, <한국정치의 구조와 진로>, 실천문학사, 1990
· 손호철, <현대 한국정치 - 이론과 역사>, 사회평론,
· 최장집, <한국 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88
· 한배호 <한국의 정치문화와 민주정치>, 법문사, 2003
· 유석춘 편,<한국의 시민사회, 연고집단, 사회자본>,자유기업원, 2002
· 나라정책자료실 엮음, <정치개혁 시민운동론> , 백산서당, 1993
· 이갑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오름, 1998
· 박동천, <선거제도와 정치적 상상력>, 책세상,2000
· 홍득표, <정치과정론>, 학문사, 1999
· 윤정석, <전환기의 한국정치과정>,인간사랑, 1991
· 김만흠, ‘한국의 정치균열에 관한 연구:지역균열 과정에 대한 구조적 접근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과정 논문, 1991
· 문경란, <우리에게는 꿈이 있습니다-총선연대, 유권자 혁명의 100일 드라마>, 나남, 2000
· 조희연, <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그리고 희생-한국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동학2>, 함께읽는 책, 2002
· 김호진, <한국정치체제론 6판>,박영사,1996
· 김용호,<한국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2001
· 문용직, <1990년 3당 합당의 분석, 한국과 국제정치 통권 17권>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3
· 윤정석, <한국정당정치론> 서울: 법문사, 1996
· 정영국, <한국의 정치과정: 정당, 선거, 개혁> 서울: 백산서당, 2003
· 참여사회연구소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7
· 신진, <정당과 선거제도 개혁> 충남: 충남대학교 출판부 , 2004
· 한배호, <한국현대정치론> 오름, 2000
· 김용호, <한국정당정치의 이해> 나남출판, 2001
· 박종성, <정치는 파벌을 낳고 파벌은 정치를 배반한다> 한울, 1992
· 안희수, <한국정당정치론> 나남출판, 1995
· 양승동, ‘미군정의 점령정책과 남한의 정치과정’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5
· 정영국, <한국의 정치과정> 백산서당, 2003
· 한국현대사연구회, <알기 쉬운 한국현대정치사> 공동체,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