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 예방 개선 활동 QI 보고서, 간호관리학실습, 낙상 예방
- 최초 등록일
- 2024.02.18
- 최종 저작일
- 2021.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낙상 예방 개선 활동 QI 보고서, 간호관리학실습, 낙상 예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Find-Organize 문제 선정 및 배경 & 팀 구성
2. Clarify-Understand 문제 해결을 위한 원인 및 영향 요인 분석하기
3. Select 목표 설정하기
4. Plan 수행전략 수립하기
5. Do-Check-Act를 위한 구체적 계획
본문내용
1. 사업의 배경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고의 하나이며 의료기관은 어느 곳이나 낙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장소이다. 외국의 경우 의료기관의 낙상 발생률은 3.1% 등 대체로 2~10% 정도로 병원에서의 낙상 위험성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 노인에게서 낙상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련 자료에 의하면, 병원 내 낙상사고가 일어나는 곳으로 침상(61.3%)이 가장 흔하고, 그 외 병실(12.9%), 화장실(12.9%), 복도 순이었다. 환경적인 면에서는 낙상 재교육, 보조 난간 설치를 한 경우에 낙상 경험이 낮았고 낙상 경험은 연령, 낙상 과거력, 우울 상태, 의사소통 장애, 투여 약물, 만성질환, 배뇨상태와 낙상 위험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해당 병동인 XX병동은 단기 병동이자 연구 병동으로 병상 회전율이 높다. 주진료과는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마취통증의학과이다. 주진료과들의 특성상 안대와 귀 드레싱 등을 적용한 환자들의 수가 많았다. 또한, 수술과 검사로 인한 여러 카테터와 정맥수액요법을 적용 중인 환자들의 수도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로 주의하지 않는다면 낙상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환자 교육과 낙상 예방 체크리스트 실행 등의 예방 활동을 통해 낙상사고 발생률을 줄이고자 한다.
2. 문제의 개요
낙상사고의 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고, 낙상사고로 인해 발생한 환자 피해정도가 심하다. 이에 연간 낙상사고 발생률을 전년 대비 발생률의 4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속적인 환자 교육, 낙상 예방 체크리스트 작성, 병실 내 리플렛 배치 등의 낙상 예방 개선 활동을 시행하고, 낙상 고위험 환자를 조기 관리하여 환자 안전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참고 자료
정면숙 외(2020). 제4판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현문사.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병원간호사회.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Fcare.pdf
XX대학교병원 XX병동 실무지침서.
[운동] 알기 쉬운 낙상위험도 평가 FRA 리플릿-건강생활실천-건강정보, 대구광역시 시민건강놀이터 홈페이지
https://www.dghealth.or.kr/board_field01/view.php?tn=board_field01&list_count_s=&G_state=Y&pm=&b_category=00030000000000000000&subject_s=&content_s=&name_s=&writedate_s=&keyfield_s=&search_word_s=&uid=1&gid=1&cpage=9&spage=1
휴앤유병원 블로그 그림 자료, ‘소사구재활병원, 낙상방지의 중요성’
https://blog.naver.com/huandyou/220750966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