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인간과 문화 - 문화간호와 문화역량 보고서
스테비아토마토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굉장히 정성들여 작성한 보고서입니다.교수님께서 우수과제로 선정하셨습니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인천광역시 남동구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1) 인천 한누리 학교
2) 인천이주여성센터 ‘살러온’
2. 인천 다문화 관련 전문가
1) 이주여성 인권 보호 전문가
2) 학교 전문가
3) 통번역 전문가
3. 문화간호환경의 변화
1) 방문건강관리 사업
2) 대한간호협회, ‘남북한 간호용어’ 발간
Ⅲ. 결론 - 발전과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대한민국은 과거 우리 자신을 단일민족국가라고 부르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체류 외국인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체류 외국인은 2,367,607명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은 작은 지구촌이라고 불리고 있다. 외국인·이민자 증가에 발맞춰 전국 지역별로 한국어 교육 등 다양한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 필자가 살고 있는 지역인 인천광역시 남동구가 시행하고 있는 독특하고 특색있는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그에 대한 전문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외국인 증가에 따라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문화 역량을 갖춘 의료진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에게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간호계에 있어서도 대학교에서 다문화 간호에 관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문화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문화간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문화간호환경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현재 문화간호환경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인천광역시 남동구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1) 학교 속 지구촌, ‘인천 한누리 학교’
인천 한누리학교는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에 위치한 초·중·고 통합 기숙형 공립 다문화 대안학교로, 외국인 가정 자녀, 국제결혼가정 자녀, 난민 등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학교이다. 2019년 4월 5일 기준, 21개국의 다양한 문화를 가진 114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문화 가정의 많은 아이들이 언어 문제와 한국 사회 부적응 그리고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에 의해서 일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 자료
e-나라지표, 체류 외국인 현황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6
인천한누리학교 학생현황
http://hannuri.icesc.kr/sub/info.do?m=010302&s=hannuri
지성배, “[학교와 교실] 다문화학교 탐방, 인천한누리학교”, 에듀인뉴스, 2016.05.02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9
윤성문, “7년차 맞는 인천한누리학교, 다문화교육 새판 짠다”, 인천in, 2019.03.07
https://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77
김성호, “[문화다양성 기획 다름은 문화다·3]다문화교육 현장, 인천한누리학교”, 경인일보, 2016.10.27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8561
이영화,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이주여성들을 구출하라!”, 인천 i-view, 2020.04.22
https://bit.ly/2zG8Mze
인천광역시 공식블로그, 따로 또 같이 살리는 인천-‘인천이주여성센터살러온’, 2019.11.27 https://blog.naver.com/incheontogi/221719908938
인천광역시 공식블로그, 인천이주여성 폭력 상담은 ‘살러온’에서, 2020.05.25
http://blog.naver.com/incheontogi/221977547495
김신영, “위기에 놓인 이주여성, 평소 가던 식료품 가게로 오세요”, 인천일보, 2019.12.25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4288
인천이주여성센터 살러온 공식 홈페이지
http://www.womanline.or.kr/bbs/board.php?bo_table=B32_2
국가인권위원회 <결혼이주민의 안정적 체류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125p · 141p,
https://bit.ly/37AoF6U
“이주여성의 아픔 ··· 인천시가 보듬어드려요”, 인천i-view, 2019.07.22
https://bit.ly/2N2D6a9
한국교직원공제회 공식블로그, 다문화 학생들의 든든한 울타리 인천한누리학교 유혜경 교사, 2016.05.19
https://bit.ly/2UQ5P6x
윤성문, “지역사회와 협력체계 구축하는 인천한누리학교”, 인천in, 2019.05.09
https://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005
주관철, “가천대 길병원-인천한누리학교, 지정병원 협약 체결”, 중도일보, 2019.05.22
http://m.joongdo.co.kr/view.php?key=*************8688
이영화, “어려운 처지에 놓인 다문화여성 돕는데 최선”, 인천i-view, 2019.12.23 https://bit.ly/3e6lRkf
보건복지부, “당신의 건강, 함께하는 방문건강관리”, 정책브리핑, 2019.12.17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66707&call_from=naver_news
G-health 공공보건포털, 이용자가이드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
https://bit.ly/2AIpa2q
박현진, “탈북민 3명 중 1명, 병원 가도 의사 설명 이해 못해”, 현대건강신문, 2018.06.16 http://hnews.kr/news/view.php?no=45369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함께하는 건강성공! 북한이주민 건강정보, 2012.10.30, 56-57p
https://bit.ly/2YHuATx
정윤식, “탈북민, 남한 의료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에 큰 문제”, 의학신문, 2018.06.18
http://m.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5016
윤혜진, “통일시대 대비 보건의료체계 간호계 역할론 대두”, HEALTH&LIFE 저널, 2018.06.15
http://news.healthi.kr/news_view.asp?articleid=180615110023
김인숙,이희정,고일선,강경화,장윤경, 「남북한 간호학용어의 비교분석」, 人文社會科學硏究, VOL.48 NO.- (2015): 103p
정규숙, “통일 대비 ‘남북한 간호학 용어집’ 발간”, 간호사신문, 2019.07.23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57&idx=2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