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한국어교원2급과정-[세종한국어4]교재 유형 분류
- 최초 등록일
- 2024.01.22
- 최종 저작일
- 2023.07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 주제 : 5주 1강과 2강에서 한국어 교재 유형 분류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한국어 교재는 교육 내용, 학습 목적, 학습자 변인, 매체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종 한국어 시리즈 중 한 권을 선택하여 한국어 교재 유형 분류 기준으로 교재의 유형을 분류해 보세요. (세종학당 홈페이지에서 e-book으로 열람 가능)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 내용에 따른 한국어 교재
2. 학습 목적에 따른 한국어 교재
3. 학습자 변인에 따른 한국어 교재
4. 매체에 따른 한국어 교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교재는 교육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교육자가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 곧 교육 과정을 문서 등의 매체로 작성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데 쓰이는 교육적 도구이다. 교재는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구현체이자 교사화 학습자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이며 수업 활동을 촉진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교재는 교수·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교수-학습의 전략을 제공하며 평가의 대상과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외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는 교재는 형식적인 교육에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거나 학생들이 학습하면서 직접 사용하는 교육 자료로 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그리고 학습자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다. 이에 한국어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자로서 훗날 나의 수업의 목적과 학습자에 알맞는 교재를 선택할 줄 아는 안목을 기르기 위해서 세종한국어(2022) 시리즈 중에서「세종한국어4」교재를 선택하여 한국어 교재 유형 분류 기준으로 교재의 유형을 분류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교육 내용에 따른 한국어 교재
교육 내용에 따라 아래 제시된 표1), 표2)와 같이 교재를 분류할 수 있다.
<중략>
세종한국어4는 표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첫째,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친근감을 갖도록 구성되어있다. 둘째, 언어 기술과 요소를 고루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셋째, 일반적 목적의 총체적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고 자료
해커스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세종한국어 교사용 지도서4]
https://nuri.iksi.or.kr/front/cms/contents/layout2/teachingsejong2022/detail.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