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계몽주의 교육 특징과 교육적 의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양의 계몽주의 교육
1.1 계몽주의 등장 배경
1.2 계몽주의 교육
1.3 계몽주의 교육사상가
2. 우리나라의 계몽주의 교육
2.1 우리나라 계몽주의 사상
3. 계몽주의 교육의 의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계몽이란 ‘지식수준이 낮거나 인습에 젖어있있는 사람을 가르쳐서 깨우친다’라는 의미로 ‘미성숙’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꿈에서 깨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어원을 가진 계몽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크게 역사적, 사상적, 문화적으로 나누어 바라볼 수 있다.
1.1.1 역사적 배경
우선 역사적으로 18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 프랑스의 루이14세의 통치 방식으로 대표되는 ‘절대 군주제’를 배경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절대 왕정’이라고도 불리는 절대 군주제를 정치 체제로 삼았던 절대주의 시대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절대주의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왕권이며 왕권은 한 국가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었다. 왕권의 강화를 통해 중앙 집권 국가로 나아갈 수 있었으며 이는 국가의 통일로까지도 이어지는 역할을 하였다. 루이14세의 “국가, 그것은 즉 나다.”라는 말은 왕권의 위대함 즉, 국가와 왕권을 동일하게 바라보는 절대 군주제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절대 군주제는 역사적 전통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과 고정관념을 버리고 이성을 강조하는 가치관을 도입하게 하였다.
절대 군주제 이외에도 16세기에서 17세기까지 걸친 종교전쟁 또한 계몽주의 등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정치적 대립이 종교적 대립과 결합하여 큰 파장을 일으킨 프랑스의 위그노 전쟁, 신교도의 반란에서부터 시작된 독일의 30년 전쟁 등의 종교 전쟁은 사람들에게 종교를 믿지 못할 빌미를 제공했고 이러한 사건들은 이성에 입각한 ‘계몽주의’의 등장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1.1.2 사상적 배경
계몽주의 등장에 영향을 준 사상에는 크게 경험론과 합리론이 있다. 베이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험론은 감각의 경험을 통해 얻은 증거들을 바탕으로 한 지식들을 강조한다. 즉, 우리의 의식에 잠재한 허상보다는 실제 존재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참고 자료
계몽사상,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32_0060_0020_0030_0030, 2021.05.23.).
계몽주의, 한죽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125, 2021.05.23.).
김응종, 「계몽사상과 프랑스혁명-루소를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88, 호서사학회, 2018.
박영호, 「[세계교회사 100대 사건-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80) 계몽주의와 교회」, 『가톨릭신문』, 2003.
배선복, 「합리론의 몸과 마음의 사유모델-라이프니츠를 중심으로」, 『대동철학』 26, 대동철학회, 2004.
사회진화론의 수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45_0030_0010_0030, 2021.05.23.).
성제환, 「[CULTURE] 르네상스시대의 33가지 비밀④」, 『매일경제』, 2011.
이종우, 「[칼럼] 갈릴레오! 갈릴레요?(Galileo! Galileo?」, 『투데이신문』, 2017.
이호규, 「칸트의 계몽사상-지혜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지식의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전환」, 『사회과학연구』 16(1), 동국대학교, 2009.
자연주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002, 2021.05.23.).
절대왕정,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32_0060_0020_0020_0010, 2021.05.22.).
정병국, 「계몽주의에서 아이작 뉴턴의 역할에 대한 비평-존 로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41, 강원대학교, 2014.
조동걸, 『우사 조동걸 전집』, 역사공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