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계몽주의 교육 특징과 교육적 의의
- 최초 등록일
- 2022.08.02
- 최종 저작일
- 2021.06
- 12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 수업에서 과제로 제출한 레포트 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계몽주의 교육특징과 교육적 의의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서두에 의료계에서 볼 수 있는 권력남용을 예시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계 관련 학과이시면 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계몽주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계몽주의 교육의 특징
(3) 교육 사상가
(3-1) 칸트
(3-2) 루소
(3-3) 로크
2) 교육적 의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늘날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우리는 지배층의 권력에 굴복하여 그들을 복종하고, 맹목적으로 따르는 경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의료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의료계에서 말하는 권력층은 병원 단체와 의사 단체로 볼 수 있다. 병원측은 병원의 경영을 위해 의료진들의 편의와 이익 보다는 병원의 이익을 우선시한다. 의사는 의협을 조정해 그들의 권력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권력을 남용하기도 한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PA간호사도 지배층의 권력 남용 사례로 볼 수 있다. ‘의사 보조인력’이라는 뜻의 PA간호사는 의사와 한 팀을 이루어 의료행위를 한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PA가 하는 의료행위는 현행 헌법상 불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원 단체가 PA간호사를 이용하는 이유는 병원의 이익 측면과 의사 인력 부족 문제 때문이다. PA는 의사의 일을 대신하지만 본부가 간호부에 있기에, 간호사의 봉급으로 의사의 일을 대신할 수 있는 셈이 된다. 이 때문에 병원은 본인들의 이익 창출을 위해 PA간호사를 불법으로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의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대 정원 확대는 여러 의사 협회가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이는 의료시장에서 의사들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문제와 일자리 경쟁을 피하기 위함이다.
<중 략>
올바르지 않은 인식과 경향성을 바꾸기 위해, 우리는 18세기 계몽주의 사상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계몽주의 사상은 세속국가의 지배층에 대하여 무조건 복종하고 교회의 가르침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삶을 지양하고, 이성을 계발하여 이성적 판단에 따라 자율적인 삶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지배층으로부터 독립하여 이성을 통해 자율적으로 삶을 살고자 노력한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계몽주의 사상의 인식을 통해 우리의 사상을 격파하고 발전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리포트는 계몽주의 교육이 갖는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본 후 이를 적용하여 현재 교육사상의 문제점에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참고 자료
서재복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공동체, 2018.
목영해,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