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연구 조사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3.10.24
- 최종 저작일
- 2021.05
- 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소개글
"민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민화의 서사
2. 예술적 가치와 특징
3. 여러 가지 민화
4. 개인 연구 조사 소견
본문내용
1. 민화의 서사
民(백성 민) 畵(그림 화)_백성들의 그림, 통일신라시대때 있던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문에 벽사용 그림을 붙이던 풍습인 문배풍습을 고려시대때도 지속적으로 사용하였고, 새해를 맞이한 것을 축하하고 좋은 일만 생기고 나쁜일은 일어나지 말라고 그린 그림인 세화로 십장생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화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졌으며 새해가 되면 왕이 도화서라는 그림을 담당하는 기관에 명을 내려 여러가지 세화를 그리도록 하고 신하들에게 선물로 주거나 궁궐 곳곳을 다양한 그림으로 장식2 하였다. 조선후기가 되어 백성들도 세화나 궁중장식화로 이용되었던 다양하고 좋은 의미의 그림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그림들을 직접그리거나 사고 팔며 집안 곳곳을 장식하게 되면서 백성들의 그림인 민화가 된것이다.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전파된 민화는 서민 문화를 넘어 지배계층의 문화로까지 발전하였다.
참고 자료
민화 [民畵] (두산백과), 2021. 04.12
민화 [民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04.12
조선 후기 등장한 풍속화와 민화의 특징 (천재학습백과 초등 사회 6-1), 2021.04.12
[문화재를 찾아서] 알콩달콩 옛 그림 속으로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2021.04.12
[한국민화뮤지엄]민화에 대해 소개합니다., 2021.04.12
한국의 전통그림, 민화, 2021.04.12
화조영모도 (미술백과), 2021.04.12
어해도, 202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