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성인간호학실습 협심증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2개)
- 최초 등록일
- 2023.09.09
- 최종 저작일
- 2023.02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A받은 성인간호학실습 협심증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사례보고서
1. 일반적 배경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약물
7. 수술방법 및 과정의 서술
8. 간호과정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CAG(관상동맥 조영술)
도관이 통과할 피부에 국소 마취제를 주사하고, 카테터를 피부로 통해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에 삽입하고 이동시켜 관상동맥까지 진입시킨다. 관상동맥의 각 혈관마다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을 여러 각도에서 영상 촬영하면서 좁아진 혈관 병변의 정확한 위치가 어디인지, 협착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한다.
PCI(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1) 사타구니의 대퇴동맥이나 손목의 요골동맥에 구멍을 낸 후 작은 와이어를 동맥으로 집어넣는다. (2) 와이어를 따라 유도카테터(guiding catheter)를 삽입한다. (3) 유도카테터를 따라 맨 끝에 풍선이 달린 카테터를 삽입하여 협착이 생긴 부위까지 밀어넣는다. (4) 유도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고 실시간 X선 모니터를 통해 카테터의 위치와 관상동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5) X선을 통해 심장을 모니터하면서 심장전문의가 관상동맥의 크기를 추정하고 시술한 풍선카테터와 관상동맥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선택합니다.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헤파린(heparine)을 투여한다. (6) 유도카테터 안으로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여 관상동맥 협착이 있는 부위까지 밀어넣는다. (7)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풍선카테터(balloon catheter)를 삽입하여 협착부위까지 밀어넣는다. 풍선카테터가 협착이 있는 부위에 도착하면 풍선을 부풀려서 죽종을 압박하여 크기를 줄여 동맥벽을 확장한다. (8) 스텐트가 필요한 경우 스텐트를 막힌 부위에 놓아서 시술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한다. 스텐트(stent)란 금속으로 된 그물망으로 혈관의 내부를 받쳐주는 구조물이다. 스텐트는 순수한 금속 스텐트, 약물이 들어있는 스텐트, 완전히 재흡수가 가능한 자연용해 스텐트가 있습니다. 스텐트는 시술 후 처음 3개월 동안 중요하고 그 후에는 관상동맥이 자체적으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9) 경피적내강경유회전죽종제거술(PTRA, Percutaneous transluminal rotational atherectomy 회전죽상반절제술)을 통해 직접 죽종을 깎아낼 수도 있다.
참고 자료
윤은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박정숙, 성인간호학 Ⅱ,. 현문사, 2018
성미혜,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hscrp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9
서울아산병원. 검사/수술/시술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