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해운업 현황 및 해운기업 경영전략 비교분석

"해운업 현황 및 해운기업 경영전략 비교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63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3.01.26 최종저작일 2022.08
63P 미리보기
해운업 현황 및 해운기업 경영전략 비교분석
  • 미리보기

    목차

    Chapter Ⅰ. 서론

    Chapter Ⅱ. 본론
    2.1 국내 해운업 현황
    2.2 해운사 주요 경영현황
    1) 한진해운
    2) 현대상선
    3) 하팍로이드
    4) MSC
    5) CMA-CGM
    2.3 주요이슈
    1) 경제이슈
    2) 정치이슈
    3) 환경이슈
    4) 과학이슈
    5) P3
    2.4 경영 전략
    1) 한진해운
    2) 현대상선
    3) 하팍로이드
    4) MSC
    5) CMA-CGM
    2.5 기업경쟁력, 차별화, 강점
    1) 한진해운
    2) 현대상선
    3) 하팍로이드
    4) MSC
    5) CMA-CGM
    2.6 전략 비교분석 및 분석결과

    Chapter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 해운시장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건화물 시장 상황을 나타내는 BDI 지수는 600~1,000포인트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 1985~2012년 동안 평균 BDI가 2,079포인트인 데 반해 현재 BDI는 1,000포인트 수준으로 지난 17년의 절반 수준이다. 특히 지난 17년보다 유가가 4~5배 이상 오른 상황에서 운임은 절반으로 떨어져 선사의 부담은 가중됐다. 컨테이너선 해운시황도 조금 회복되었다고는 하나 고유가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컨테이너 운임지수인 CCFI도 2,000포인트 수준을 하회한다. 건화물선과 같이 컨테이너선의 유가 부담 역시 큰 수준이라 컨테이너 선사의 경영도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의 해운시황 악화는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해상물동량 저조 때문이기도 하고 대대적인 선박공급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그 동안 세계 해운산업은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로 인한 해운 서비스 수요 증가에 대비해 선복량을 크게 늘려왔다. 이로 인해 세계 해운경기는 긴 불황으로 빠져 들었고 아직까지 시장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해운기업의 수입원천인 운항수입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국내 선사를 비롯한 세계 유수 해운기업의 적자가 늘어나고 정상적인 경영도 어려운 실정이다. 세계 해운경기 하락으로 선박 운항 중단, 신조선 인도 보류, 국내 선사들의 법정관리 확대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세계 경제가 회복되어도 해운수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증한 세계 상선대의 과잉공급으로 인해 해운경기의 불안정 요소가 지속될 수 있다는 데 있다.
    특히 우리나라 해운기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이 주종을 이루고 화물운송 위주의 경영 전략을 전개하고 있어 외국 선사에 비해 해운경기 변동에 취약한 구조를 보인다. 또한 국내 수출입 화물이 8억 톤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전용선 계약에 의한 화물 수송 비중이 많지 않은 것도 시황 대응력이 낮은 이유이다.

    참고자료

    · 황진회ㆍ박정선ㆍ최상희저자(2012), 선박공급 과잉 시대의 해운기업 경영 전략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1-2 에서 요약 발췌
    · 국제물류위클리, 제 62호(2010.7.2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송민준 외 1명, 해운산업 2013, Rating Methodology, 2013-08, p6
    · http://www.kisrating.com/report/rating_methodology/rm20130829-4.pdf
    · 권오철, 국제물류환경변화에 따른 해운기업의 경영전략 연구, 2007, p.97
    · 연구원자료, [현안과 과제 : 주요국 해운업 지원 정책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2012
    · 백종실, [컨테이너 선사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7
    · 고태열, [국적선사의 중남미 정기선 해운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 김재일, 해운업에 있어서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경영논집 32호, 1998, p.20-45
    · 김주현,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리포트, 현대경제 연구원, 560호, 2014, p1~2요약, 발췌
    · 홍대선기자, 한겨레, “해운업계, 쌓이는 적자에 P3 동맹까지”, 2014.05.04
    · Cargo news, “하팍로이드, 3분기 순익 15% 감소해”, 2013.11.15
    · 최승근, "끝이 안 보인다"..해운업 불황 어디까지, 맛있는 뉴스토마토, 2014-03-05,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49329
    · 김태환기자, 이코노믹 리뷰, “한국해운 이대로 두면 국적선사 씨가 마른다”, 2014.02.12
    · 정수남 기자, 아이뉴스24뉴스, '정부, 녹색선박 '그린십' 기술개발에 3천억 투입', 2011.02.24
    · 이민선 기자, 해양수산부 네이버 블로그 , “흔들흔들 뱃멀미에 숨겨진 선박 과학이야기”, 2013.09.11
    · 진상훈기자, 조선비즈, “글로벌 대형 선사 연합 p3 출범... 사면초가 몰린 국내 해운업계”, 2014.03.26
    · 문병선, 자본시장 미디어 the bell, '한진해운+홀딩스' 소유구조 어떻게 바뀌나, 2014.03.18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40317010002418000146
    · 김보람 기자, 헤럴드경제, ‘CKYHE’ 얼라이언스 결성, 2014.02.20, http://www.kinds.or.kr/한진해운
    · 김시오 부장, LOGIS NET CARGO NEWS, [해운] 하팍로이드 CP십스 인수한병..5위권 진입, 2005.8.24
    · 김노현 기자, Logispia news, 하팍로이드 선대 확충에 총력, 2001년
    · SNN 쉬핑뉴스넷, “G6얼라이언스 협조대상범위 확대..현대상선 새 활로 기대” , 2014.2.20
    · http://www.shippingnews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3539
    · 노희영 기자, 서울경제, "해운경기 안좋은데 고철 값이라도 벌자", 2009.07.09
    · 김태현 기자, 한국경제, “부산신항, 축구장 3개 크기 '괴물'이 들어왔다.”, 2010.07.10
    ·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 뉴스, “글로벌 해운 2•3위 손잡고 1위 위협”, 2011.12.06
    · 노현 기자, MK뉴스 해운, "글로벌 제휴로 불황뚫자", 2013.02.13
    · 김익환 기자, 머니 투데이 뉴스, “[더벨]세계2위 해운사 MSC, 국내 투자자에 손벌린다.”, 2011.12.12
    · 김창훈 기자, 중기이코노미, “해운공룡 'P3'”, 2014.04.02
    · 이주환 기자, 부산일보, "5월 출범 P3 네트워크 정기선 운임 안정화 도움", 2014.01.10
    · 진상훈, 한진그룹 품에 안긴 한진해운…경영 정상화는 여전히 가시밭길, ChosunBiz, 2014.04.29,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4/29/2014042902765.html?main_news
    · 장선희, [무역 1조달러 시대 성장 코리아의 신화]<3>서비스 무역을 일구다, 동아닷컴, 2011.11.15
    · 김혜민, 해운, 정부 돈 '수혈'보다 자구노력을, 아시아경제, 2014.05.07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50711253417248
    · 김영택, 한진, 고객 맞춤형 서비스 특화, 맛있는 토마토뉴스, 2013-08-01,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387649
    · 최하영 MBN 골드 전문가, M머니, [집중관찰] 현대상선 (1) 기본+기술적 분석, 2014.05.07
    · 김대중기자, 주간무역, “현대상선, G6 협력 확대로 서비스 경쟁력 대폭 강화”, 2014.02.21
    · 서성훈기자, 위클리오늘, 현대상선, 1만TEU급 현대드림호로 경쟁력 강화, 2014.02.28
    · 이경성기자, 물류신문, 현대상선, 조디악과 컨테이너선 용선계약, 2014.01.02 발췌
    · 김성귀 기자, 동아일보, '빈사상태 해운업 다시 일으켜 세우자', 2014.01.16
    · 한진해운 공식홈페이지 http://www.hanjin.com
    · 현대상선 공식 홈페이지 www.hmm21.com
    · 하팍로이드 공식 홈페이지 http://www.하팍로이드.de/
    · 네이버 금융
    · http://www.msc-korea.com/kr/about_us/history.html
    · http://www.mscgreece.com/finance/financial_reports2012.html
    · www.imo.org
    · http://blog.samsungshi.com/166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블로그(http://blog.kiost.ac/90163439763)
    · 해양수산부 네이버 블로그
    · 블로그, http://justswot.blogspot.kr/2013/08/blog-post_8799.html
    · 인천항만공사 공식블로그
    · msc sustainability ambitions 2020브로셔
    · 한진해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췌(2006년, 2008년, 2013년)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5개 해운사의 전략 비교를 통해 해운업의 현황과 주요 이슈, 그리고 각사의 경영전략과 경쟁력을 살펴보았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