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사의 언어폭력과 이직의도의 관계

"간호사의 언어폭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3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2.11.19 최종저작일 2016.10
30P 미리보기
간호사의 언어폭력과 이직의도의 관계
  • 미리보기

    소개

    "간호사의 언어폭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목적---------------------------------------------------------------------------2
    3. 문헌고찰---------------------------------------------------------------------------2
    4. 용어정의---------------------------------------------------------------------------4

    II. 연구방법----------------------------------------------------------------------------5
    1. 연구 설계--------------------------------------------------------------------------5
    2. 연구 대상--------------------------------------------------------------------------5
    3. 연구 도구--------------------------------------------------------------------------5
    4. 자료수집---------------------------------------------------------------------------6
    5. 윤리고려---------------------------------------------------------------------------6
    6. 자료분석---------------------------------------------------------------------------6

    III. 연구 결과--------------------------------------------------------------------------7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7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정도---------------------------------------9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11
    4. 언어폭력경험, 이직의도의 상관관계-----------------------------------------------------12

    IV. 논의------------------------------------------------------------------------------13

    V. 결론-------------------------------------------------------------------------------16

    Ⅵ. 참고문헌-----------------------------------------------------------------------------18

    Ⅶ. 부록--------------------------------------------------------------------------------21
    1. 설문지 원본------------------------------------------------------------------------21
    2. 도구 저자와의 교신 내용-------------------------------------------------------------27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언어폭력은 언어를 매게로 한 폭력으로 상대방에 피해를 주는 공격적인 표현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박미애, 2003). 권혜진(2007)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 의료기관 내에서 간호사의 90.6%가 잘못된 의사소통 유형인 언어폭력을 경험하고 있으며, 업무의 특성상 간호사는 의사, 환자, 보호자, 타부서 직원, 상사 등 다양한 사람들과 접촉해야 하는 위치에 있어 다른 어느 직종보다 더 많은 언어폭력에 노출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언어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보다 더 큰 정신적 외상과, 깊은 상처를 남길 뿐만 아니라, 간호업무에 차질을 주게 되며, 결과적으로 환자 간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여 병원전체의 서비스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권혜진 외, 2007).
    병원조직은 의료서비스를 책임지는 의사, 간호사와 행정직원 등의 병원 구성원과 환자 및 보호자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 및 보호자의 권리 요구가 증가하면서 갈등요인은 끊임없이 있는 상태이며(공정윤, 2005 ;이순의, 정승은, 2007), 이러한 갈등과 긴장으로 인해 언어폭력이 발생한다(김태숙, 김종임, 2004;박은영, 2006).
    간호사가 겪는 언어폭력의 문제는 비단 한국사회의 문제는 아니다. 영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른 근로자들의 4배, 다른 의료인들보다 3.5배이상 높은 폭력의 위험이 있다고 하였다.(Home Office, 1999). 미국의 경우 2004년 Nursing Time의 조사에 따르면 간호사의 10명 중 9명이 의료기관내에서 언어폭력을 경험한다고 보고하였고(Occupational Health, 2004), 미국간호사의 96.4%가 언어폭력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Rowe, Sherlock, 2005).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언어폭력에 관대하고 일상적인 일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간호사가 언어폭력 대상이 된 사례들이 여러 매체를 통하여 이미 보고되어 있음에도 문제의 심각성을 부정하려는 경향이 크며 인지된 문제라 할지라도 그 책임을 피해자인 간호사에게 전가하려는 경향이 우세하고, 그 실상 또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Lipscomb &Love, 1992).

    참고자료

    · 강미윤 (2015). 임상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창원.
    · 권혜진 (2007). 의료기관 내에서 간호사가 겪는 언어폭력, 대한간호, 46(1), 34-39.
    · 권혜진, 김효심, 최기순, 이경숙, 성영희 (2007). 의료기관내에서의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3(2), 113-124.
    · 공정윤 (2005). 병원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른 갈등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
    · 구자관 (2007). 언어폭력이 카지노딜러의 소진,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기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6년 12월 1일 검색, http://www.korean.go.kr.
    · 김가은 (2004). 간호사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보건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김경숙, 한영희 (2013).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요인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 건강간호학회지. 22(2). 121-129.
    · 김미란 (2007).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서울.
    · 김양옥 (2016).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부서와 일반 병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간호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 김태숙, 김종임, (2004).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이직에 관한 실태조사. 간호행정학회지, 10(4), 427-436.
    · 김현숙 (2009). 일개병원의 특수부서 간호사에서 언어폭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연관성. 대한산업의 학회지, 21(4), 388-395.
    · 남경동, 윤계숙, 정혜선, 박순애, 장부영, 김혜란, 엄현신, 성영희 (2005).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 폭력 측정도구의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11(2), 159-172.
    · 박미애(2003). 학급 내 언어적 폭력의 내용분석 : 부산시 남자 중학교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부산.
    · 박은영 (2006). 응급실 폭력상황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반응: Q방법론적 접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부산.
    · 배아량 (2012). 임상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정서적 반응 대처와 감성지능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경상남도.
    · 배현정 (2012).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대전.
    · 병원간호사회 (2009, 2013). 2009년, 2013년도 사업보고서: 병원 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6년 12 월 9일 검색, http://www.khna.or.kr
    · 손희진 (2011).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그에 따른 정서적 반응 및 직무 스트레스. 성신 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신미영 (2011).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폭력, 소진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오의진 (2010).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직무 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임상 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유미옥 (2011).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충주 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충북.
    · 이관형 (2004).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서울.
    · 이순희, 정승은(2007). 병원 내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3(4), 526-536.
    · 이현숙 (2015). 병원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 후 정서적 반응이 이직의도 및 간호업무성과 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순천.
    · 이현정 (2016). 조기경력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 임숙빈, 조미경, 허명륜 (2013).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상황, 대변관계변수 중심 으로.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4), 314-323.
    · 정효주 (2010).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 최미경 (2014). 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 최웅지 (2004). 응급실에서 발생한 폭력의 실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남.
    · 통계청 (2007). 2007년 통계연보 통계청 보도자료. 2016년 12월 9일 검색, http://www.kostat.go.kr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연구총서 : 한국사회 폭력문화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 함정화 (2013).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경기도.
    · 황재용 (2008).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반응.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Beecoft, P. C., Dorey, F., & Wenten, M. (2008). Turnover intention in new graduate nurse: A mui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Aduanced Nursing, 62(1), 41-52.
    · Buback, Debra (2004), Assertive training to prevent verbal abuse in the OR.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 Jonuary, 79(1), 148-164
    · Cox, H. C. (1987). Verval abuse in Nursing: Report of a study. Nursing Magement , 18(11), 47-50.
    · Cox, H. (1991-a). Verval abuse Nationwide, Part Ⅰ: Oppressed Group Behavior. Nursing Management, 22(2), 32-35.
    · Cox, H. (1991-b). Verval abuse Nationwide, Part Ⅱ: Impact and Modifications. Nursing Management, 22(3), 66-69.
    · Diaz, A. L. & Mcmilla,J. D.(1991). A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nurse abuse. Wer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3(1), 97-109.
    · Hassmiller, S. B., & Cozine, M. (2006). Addressing the nurse short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Health Affairs, 25(1), 268-274.
    · Home Office (1999). Domestic violence : findings from a new British Crime Survey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Home Office Research Study, 191.
    · Joung, M. S.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effecr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 Lawler, E. E. (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New York : McGrow Hill, 287-301.
    · Leanne S. Cowin, Cecily Hengstberger-Sims, Sandy C. Eagar, Linda Gregory (2006). Competency measurements: testing convergent validity for two measur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Lipscomb, J. A., & Love, C. (1992). Violence toward health care worke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40(5), 21-228.
    · Mobl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M. A. Addision-Wesley.
    · Occupational Health. (2004). Verval abuse epidemic in nursing. Occupational Health, 21(10), 95-107.
    · Price & Mueller (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s. Greenwich. CT: JAL press.
    · Rowe & Sherlock (2005). Stress and Verbal Abuse in Nursing: Do Burned Out Nurses Eat their their You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3(3), 242-248.
    · Ryan, J., Poster, E.C. (1991). When a patient hits you. The canadian Nurse, 87(8), 23-25.
    · Sofield, L., & Salmond, S. W. (2003). Workplace violence : A fouse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 Nurse, 22(4), 274-283.
    · Toffler, A. (1982). Turnover,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eds, Katz and Kahn. N. Y. W. B. Sander’s Company. 247-255.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