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방식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노가노졸업함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방식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본론
1. 연구설계
2. 연구 대상자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분석
Ⅲ.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2020년 3월 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코로나 감염 확산이 증감을 반복하며 지속되고 있는 상황으로, 2021년 05월 12일 현재 국내 코로나19 총 누적 확진자수는 128,918명이며, 누적 사망자수는 1884명에 이른다[1]. 코로나19로 인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내외 전반에 나타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교육계의 변화이다. 유․초․중․고등학교 및 대학에 이르기까지 교수-학습자 모두 비대면(언택트) 시대를 살아가게 되면서 새로운 학습 환경, 새로운 교육 방식에 적응해야만 했다. 대학에서도 예외 없이 기존의 전통적인 대면수업 방식의 틀을 깨고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수업 방식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동영상 녹화강의가 주를 이루었고, 그 외에 기타 동영상을 활용한 비실시간 강의 및 과제물 중심 강의도 적용되었다[2]. 대학은 코로나 이전에도 일부 교과목에서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활용한 비실시간 사이버 강좌를 개설 및 운영하여 왔으나, 코로나19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해 비대면 강의가 전면적으로 확대된 것이다[3].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새로운 수업방식이 운영됨에 따라 교수-학습자 모두 익숙지 않은 수업환경에 적응하느라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 학업을 수행하는 간호대학생이 코로나19로 인한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대면 수업방식과 다른 측면에서 임상실습을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코로나19 이전에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는 스스로 자의적인 선택에 의해 일부 교과목에 한정되어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에 참여했던 반면,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습자는 선택이 아닌 불가피한 상황에서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게 된 것으로 임상실습에서의 영향 요인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코로나 확산에 따라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실시간 화상강의(ZOOM활용) 참여시 23.8%,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강의 참여시 ......<중 략>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2020.12.3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http://www.cdc.go.kr/menu.esmid=a20501000000에서 2021년 5월 12일 인출.
이동주, Misok Kim (2020). 코로나19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Multimedia-A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59-37.
이에리쟈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1011-1030.
박은경 (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320-338.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 (2020). 코로나 19 (COVID-19) 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19-541.
정향기 (2020). 코로나19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노경희, 이준, 염철현, 장시준, 정영식 (2011). 스마트교육 체제 구현을 위한 온라인 수업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M 2011-27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헤경, 김경숙, 임성민 (1990).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측정도구 개발연구. 간호학 논집, 13, 17-27
김분한 등 (1998). 간호사 국가시험 방향설정을 위한 임상수행능력 -기본간호학, 성인간호학, 정신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아동간호학, 간호행정을 중심으로- , 대한간호학회지, 32(5), 684-692
김혜숙. (200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6(1), 64-76.
양진주와 박미영 (2004).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2), 271-277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6).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site, multi-method study. National League for Nursing and Laerdal Medical.
강지영 (2020). 온택트 시대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 혼합방법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937-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