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창비, 2019.
· 박진빈, 《도시로 보는 미국사》, 책세상, 2016.
· 황경식, 《존 롤스 정의론》, 쌤앤파커스, 2018.
· 마사 C. 누스바움, 임현경 역, 《타인에 대한 연민》, 알에이치코리아(RHK), 2020.
· 존 롤스, 황경식 역, 《정의론》, 이학사, 2003.
· 김도균・유보배, <노키즈존 확산, 어떻게 볼 것인가?>, 《이슈&진단》 제221호, 경기연구원, 2016.
· 김영임,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적 지지감 인식 : 성격, 이용동기, 이용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4호, 한국콘텐츠학회, 2015.
· 김정수, <아동의 기본권 보장에 대한 헌법적 과제 - ‘노 키즈 존(no kids zone)’ 관련 정당성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37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 김채연·정소정, <은폐된 차별, 노키즈존(No Kids Zone): 노키즈존의 사회구조적 원인 분석>, 《학생연구프로젝트》 제207회, 학생인권연구프로젝트 발표회, 2019.
· 마크로밀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노키즈존(No kids zone)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9권 4호, ㈜마크로밀엠브레인, 2019.
· 김경희·이조은, <3번의 실패 후 찾아온 기회... 차별받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오마이뉴스》, 2020.08.10.(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65037&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2022.06.21.
· 김남미, <UN아동권리위원회 “한국은 아동 혐오 국가라는 인상 받아”>, 《미디어내일N》, 2019.05.15.(http://www.medianext.co.kr/news/view.php?idx=2508), 2022.05.20.
· 김민희, <노키즈존의 도래>, 《서울신문》, 2017.09.19.(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920030003), 2022.06.20.
· 김소연, <“‘겨울왕국2’ 상영관 노키즈존으로”..아동 혐오 논란>, 《한경 생활·문화》, 2019.11.27.(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911276586H), 2022.05.20.
· 김시연, <“클럽 외국인 출입 금지는 인종차별”, 입장 바꾼 인권위>, 《오마이뉴스》, 2019.08.29.(http://omn.kr/1koo6), 2022.06.20.
· 이동한, <[기획]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은?>, 《한국리서치》, 2021.12.01.(https://hrcopinion.co.kr/archives/20056#), 2022.05.20.
· 장하나, <노키즈존도 예스키즈존도 아닌>, 《주간경향》 1479호, 2022.05.30.(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2205201541161&code=124), 2022.06.20.
· 한승곤, <“아이 동반 출입 금지” vs “아동 혐오” 노키즈존 논란>, 《아시아경제》, 2019.04.15.(https://news.v.daum.net/v/ateaStVBoP?f=p), 2022.05.20.
· <아동>,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41&docId=5677473&categoryId=62841), 2022.06.20.
·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결정 16진정0848200 상업시설 이용 시 나이 제한》, 2017.
· UN, 《아동권리협약(conver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