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과제 레포트 / 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이 현대적으로 변용된 예 _ 드라마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22.07.07
- 최종 저작일
- 2016.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고전소설론 수업 시간에 제출한 과제입니다.
학점은 A+을 받았었습니다.
과제는 고전소설이 현대적으로 변용된 예에 대해 조사해오는 것이었고 저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서술하였습니다.
비슷한 과제 주제를 받았다면 참고해보시면 도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전소설 소재형 드라마
1) 《내 사랑 팥쥐》
2) 《팥쥐엄마》
3) 《흥부네 박 터졌네》
2. 고전소설 각색형 드라마
1) 《쾌걸 춘향》
2) 《향단전》
3) 《심청의 귀환》
4) 《쾌도 홍길동》
5) 《전우치》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고전소설은 조선시대 많은 독자층에게 사랑받아 지금까지 내려온 이야기들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야기는 많은 감동과 주제를 담고 있기에 현대의 독자들에게까지 읽히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고전소설 내에는 이 시대에 독자들도 공감하고 재미를 느낄만한 요소가 들어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고전소설은 현대에 많이 각색되고 새롭게 즐겨지게 되었는데 특히 주목해보아야 할 것은 가장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영상매체라고 생각한다. 영상매체라고 하면 영화와 드라마를 쉽게 떠올릴 것이다. 고전소설이 현대적인 변용을 통해 혹은 그 내용을 그대로 살려서 영화로 제작되는 예는 많이 시도되고 있지만 고전소설이 드라마화 되는 것은 꽤나 찾기 힘들다. 이에 고전소설을 따왔거나 변용, 각색한 드라마를 찾고 정리해보았다.
Ⅱ. 본론
고전소설 작품과 연관된 드라마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제목의 일부를 고전소설 주인공의 이름이나 고전소설 작품에서 따왔으나 내용상으로는 크게 관련이 없이 캐릭터성이나 소재만 빌려온 경우다. 이를 고전소설 소재형 드라마라고 명명하겠다. 다른 하나는 고전 소설 작품의 스토리를 가져와 각색하거나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는 원작의 스토리가 드라마화 되면서 추가되고 각색되는 부분이 있지만 큰 사건의 줄기가 이어져있는 경우로 선정했다. 이를 고전소설 각색형 드라마라고 이름 지었다.
1. 고전소설 소재형 드라마
1) 《내 사랑 팥쥐》
《내 사랑 팥쥐》는 2002년 8월 26일부터 2002년 9월 24일까지 방송된 10부작 MBC 월화 미니시리즈다.
참고 자료
주수민,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 <쾌걸춘향>의 경우」,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구민경, 「고전소설의 매체 변용 양상 연구 : 고전소설 <전우치전>과 TV드라마 <전우치>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홍정표, 「고전소설을 활요한 방송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 『홍길동전』과 《쾌도 홍길동》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